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는 '영화'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여성'들이 있다. <핀치>가 여성영화제를 만드는 사람들, 여성영화제가 배출한 감독들, 여성영화제를 사랑하고 지지하는 페미니스트들을 만나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20년에 대해 들었다. 첫번째 인터뷰는 신임 이사장 김은실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교수다.
제21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이사장을 맡았다.
여성영화제 이사회는 다른 영화제들과 달리 매우 중요한 조직이라고 생각한다. 여성영화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재정과 조직을 전적으로 지원받지 않는다. 서울시와 영진위로부터 받는 보조금은 영화제 기간 동안의 운영 자금에 한정되어 있다. 영화제를 실행하는 예산 이외에, 사무실을 가동하거나 영화제가 본격적으로 열리지 않는 기간 동안의 운영 비용을 이사회를 중심으로 영화제가 자체적으로 감당해야한다.
그래서 여성영화제는 이사회가 독립적인 영화제이다. 이사회와 집행위원회가 밀접한 관계 속에서 긴밀하게 소통하고 움직이는 것이 필요하다. 집행위원회가 영화제 자체를 어떻게 꾸릴 것인가 하는 가장 중요한 사안들을 결정한다면, 이사회에서는 집행위의 결정과 사안을 심의하고 지지하고 재정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을 진다.
오랫동안 이사장을 맡았던 이혜경 전 이사장이 사임하면서 내가 이사장직을 수행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몇 개월 동안 해 보니 굉장히 많은 책임을 져야 하는 자리 같다. 나 뿐만 아니라 이사들, 조직위원장, 집행위원장, 부집행위원장, 사무국장 다 함께 제21회 여성영화제를 잘 만들기 위해서 맹진하고 있다.
여성영화제의 시작
여성영화제는 영화에서 출발하기도 했지만 동시에 여성주의에서 출발했다. 95년 이화여대에서 강의를 시작하면서 대학원생들에게 맨 처음 읽도록 했던 책이 <이갈리아의 딸들>이었다. 당시 미국에서 학부 학생들이 읽던 책이었다. 수업을 들은 학생들이 그걸 번역했다. 페미니즘 대중화에 새로운 상상력을 불어 넣은 대표적인 텍스트가 된 것이다.
여성영화도 마찬가지다. 여성영화제를 시작하기 전부터 영화라는 것이 페미니즘을 이해하고, 전파하고, 함께 논하는 데에 굉장히 중요한 텍스트라는 것이 대학과 여성문화운동 단체를 중심으로 공유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제가 미국에서 <침묵에 대한 의문(A Question of Silence, 1983)>이라는 영화를 보고 테이프를 구해서 <또하나의문화>로 보내 준 적이 있다. 한국에서는 <안토니아스 라인>으로 유명한 마를린 고리스의 데뷔작이다. 어떤 면에서 페미니즘 이론을 그대로 영화화한 것 같은 영화다. 대학에서 그걸 같이 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걸 <또하나의문화>에서 틀기 시작하고, 각 대학 여성동아리에서 같이 보면서 유행시키는 역할을 했다. 유투브도 VOD도 없던 시절이라 미국 대학에서 ‘비공식적’인 루트로 어떻게든 입수하곤 했다. 영어 자막이 나오는 네덜란드 영화라 대학원생들이 한국말로 번역해서 함께 봤다.
이렇게 페미니즘 텍스트로서 여성영화를 함께 보고 이야기하는 여성문화운동의 중심에 <여성문화예술기획>이라는 단체가 있었다. 변재란 제21회 여성영화제 조직위원장이 간사였다. 저는 그 때 ‘문화정치학’이라는 강좌 시리즈를 강의했고, ‘영화를 통한 여성에 대한 이해’라는 강좌도 있었다. 이런 과정이 여성영화제가 만들어진 토대가 됐다. 영화를 만드는 여성영화인은 물론 여성문화운동, 페미니즘 이론을 하던 사람들이 뭉친 것이다.
결국 여성영화제가 만들어진 이유는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여성들이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 또한 세계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학습하고, 그 배움을 공유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성 감독, 여성영화인, 페미니즘 이론가들이 영화제에 참여해서 관객들로 하여금 세계를 다르게 보고 바꾸는 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영화제의 궁극적인 목적은 여성영화제를 찾은 관객들이 세계에 대해서 새로운 인식을 갖고, 새로운 상상력을 갖고, 새로운 여성이 되고, 새로운 주체가 되는 것이다.
여성영화제는 세상을 바꿨나?
한국 사회에서 여성영화제가 의도했던 것들을 꽤 많이 성취했고, 여전히 새로운 영역들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맨 처음에 여성영화제가 만들어졌을 때, 장안의 페미니스트들이 일주일 내내 여성영화제에서 살았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영화를 보고 토론이나 ‘쟁점의 밤’ 행사에 참여한 거다. 대학 여성학 수업에서도 여성영화제에 나온 영화 중 많은 텍스트를 선정해서 보게끔 했다. 어떤 학생들은 선생이 가라고 해서 억지로 갔다가 생각지 못한 진주를 얻기도 했다. 페미니즘 이론가로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 텍스트에서 이해하지 못한 것을 영화를 통해서 '한 큐에' 이해하고, 인식의 변화를 갖게 된 것이다.
그 중에는 영화를 찍는 감독이 된 사람도 있고, 칼럼니스트가 된 사람도 있고, 이론가가 된 사람도 있다. 그 과정에서 여성영화제가 굉장히 중요한 매개체가 됐다고 생각한다. 저를 비롯해 많은 여성학자들이 여성영화제가 정치적으로 자기 자신을 밀어붙이고 전환하는 데에 영감을 줬다고 회고한다. 영화를 통해 상상하지 못했던 다른 시대, 다른 사회의 여성들의 새로운 삶, 새로운 선택들을 이해하게 된 것이다. 저는 정말로 많은 여성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고 충격을 줬던 영화들이 많았다고 생각한다.
여성영화제를 20년 간 함께 하며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이 있다면?
초창기 1회, 2회 때 "여성영화제의 '여성'은 누구인가"에 대해 엄청나게 토론했다. 우리가 여성이 무엇인지 다 같이 이해하는 것 같지만 실은 다양한 집단이 논의되며, 이를 둘러싼 치열한 갈등도 존재한다. 때로는 여성 그 자체가 논쟁적인 범주다.
당시 젊은 친구들은 여성영화제가 상정하는 여성 관객이란 굉장히 급진적이고 정치적인 여성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사람들은 여성이라는 말이 갖고 있는 보편성이 있으니 최대한 많은 여성들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소위 ‘각성’하지 못한 여성도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영화제 내부에서도, 관객들과도 이런 논쟁을 많이 했다. 그런 논쟁의 장면들이 저한테는 굉장히 중요한 기억이고 또 의미 있는 기억이다.
그 논쟁은 20년이 지나 어떻게 ‘정리’됐나?
여전히 결론이 나지 않은 주제 같다. 하지만 소위 말해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영화는 일반 영화관에도 많다. 다른 영화제가 아닌 여성영화제에서 상영해야 하는 영화라면, 좀 더 실험적이고 불편하더라도 문제적으로 여성을 다루는 영화여야 하지 않을까?
최근 여성영화제 관객의 대부분이 20대 여성이라고 들었다.
최근의 20대 여성들은 새롭게 되고 싶어 한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삶에 대한 전망, 새로운 선택을 하는 여성들을 보고 싶은 욕망이 많다. 여성영화제가 보여줬던 영화들은 중요한 선택지를 보여줬다. 퀴어 섹션, 젊은 여성들의 새로운 페미니즘적인 시각을 보여주는 영화, 다른 사회에서의 페미니스트 운동들을 다룬 다큐멘터리 등등.
새로운 삶을 살고 싶은 우리나라 20대 여성들에게 그것이 참고할 만한 준거집단의 모습을 제공해주지 않았을까? 다른 나라, 다른 시대의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는지, 어떤 문제에 부딪혔고 그것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영화라는 텍스트를 통해 한꺼번에 볼 수 있는 장이 여성영화제인 것이다. 그래서 20대들이 새로운 레퍼런스, 새로운 모델, 새로운 선택지를 찾아서 여성영화제에 오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여성영화제가 가야할 길
이번 여성영화제 조직 내부에 새로운 집행위원장, 부집행위원장, 새로운 집행위원들이 들어오면서 세대교체가 일어나고 있다. 앞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로운 여성들이 영화제를 조직하고 준비하며 새로운 여성 의제를 개발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 사회를 좀 더 민주적이고 정치적으로 평등한 사회로 가는 데 영화제가 좀 더 많이 기여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여성들이 많은 여성이슈들를 제기하고 있지만, 사회 전체를 성평등한 방식으로 민주화 하는 데에 아직 많이 미흡하다고 생각한다. 한국 사회를 조금 더 성평등화 하고 좀 더 민주화 하는 데에 우리 여성영화제가 좀 더 기여했으면 좋겠다.
나에게 여성영화제란?
여성영화제는 저에게 새로운 의미를 만드는 장, 그리고 정치적인 장이다. 얼마나 여자들이 흥미롭고 실험적이고 정치적인 영화를 만드는지, 영화 그 자체를 즐기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더 중요한 건 영화제 내내 많은 여성들과 함께 한다는 점이다. 영화제를 만드는 과정에서, 영화제를 관객으로서 즐기는 과정에서, 영화를 토론하는 과정에서 많은 여성들과 함께 한다. 그게 가장 즐겁다.
제21회 여성영화제 관객 여러분께 한 마디
이번 제21회 여성영화제를 준비하며 우여곡절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열심히 논의하면서 준비했습니다. 많이 오셔서 즐겨주시고, 새로운 영화제로 거듭나기 위해서 참여해주시고, 논의해주시고, 의견을 주시고, 그래서 우리의 영화제로 만들어 가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