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눈으로 세계를 보자, 여성영화제의 사람들 5. 권김현영

알다서울국제여성영화제인터뷰

여성의 눈으로 세계를 보자, 여성영화제의 사람들 5. 권김현영

신한슬

디자인: 이민

‘여성의 눈으로 세계를 보자’라는 캐치프레이즈로 21년 간 여성 감독, 여성 배우, 여성 영화들을 소개한 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돌아왔다. 2019년 제21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예년보다 다소 늦은 8월29일부터 9월5일까지 열린다. 8월3일부터 9월30일까지는 텀블벅 펀딩을 통해 새로운 기획을 준비하고 있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는 '영화'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여성'들이 있다. <핀치>가 여성영화제를 만드는 사람들, 여성영화제가 배출한 감독들, 여성영화제를 사랑하고 지지하는 페미니스트들을 만나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20년에 대해 들었다. 다섯 번째 인터뷰는 여성영화제 집행위원을 맡은 여성학자 권김현영이다.

 

여성영화제를 처음 접했던 순간을 기억하는지?

관객으로 처음 접한 건 1회 때다. 그 이후 지금까지 거의 빠짐없이 여성영화제를 보고 있다.

1997년에 저는 대학교 4학년이었다. 당시 여성영화제는 동숭아트센터에서 열렸는데, 마침 그 근처 성균관대학교를 다니며 총여학생회를 하고 있었다. 정말 매일매일 총여학생회 일정으로 바쁘던 차에, 여성영화제가 개막한다는 소식을 들은 것이다. 지금도 기억이 난다. 총여학생회실 앞에 ‘총여 3일 휴가!’ 라고 걸어 놓고, 모두 여성영화제로 가서 3일 간의 휴가를 보낸 거다. 밤새 심야상영도 보고.

당시 동숭아트센터 앞에 광장 같은 공간이 있었다. 거기 하루종일 앉아 있으면 장안의 페미니스트를 다 볼 수 있었다. 그 광장에 가는 것 자체도 굉장히 중요한 행사였다. 사람들을 만나고, 사교하고, 영향을 주고받는 자리였다. 2회, 3회가 지나고 나자 사람들이 점점 ‘떨쳐 입고’ 나오게 되더라(웃음). 눈도 까맣게, 입술도 까맣게 하고 가서 놀고.

20년 간 여성영화제가 변화한 점이 있다면?

1회 때부터 초반의 4~5년 정도는 페미니스트 액티비즘을 강력하게 드러내는 영화들이 많았던 기억이 난다. <팝의 여전사>, <전사의 징표>, <마이 페미니즘>, <밤이 기울면> 등이다. 보고 난 다음에 우리가 여기에서만 싸우고 있는 게 아니라 전 세계 여성들과 함께 싸우고 있구나, 우린 굉장히 비슷한 주제를 가지고 동시대적인 싸움들을 하고 있구나, 이런 감각을 느꼈다.

또한 퀴어 영화들, 레즈비언 영화들을 꾸준히 다루었다. 한국에서는 당시에 그런 영화를 볼 기회가 많지 않아 여성영화제에서만 볼 수 있었다. 그런 영화들을 봤던 게 특별했던 경험으로 남아있다.

초반의 영화제 분위기가 그랬다면, 2000년대 와서는 영화제에서 다루는 주제들이 점점 많아지기 시작했고, 분화되기 시작했다. 일단 상영하는 영화의 개수가 절대적으로 많아졌다. 초반에는 여성영화제에 갔다는 건 곧 특정 영화를 봤다는 의미가 될 정도로 영화 숫자 자체가 그렇게 많지 않았다. 상영관도 한두 개였고, 다 같이 보는 거다. 하지만 나중에는 내가 여성영화제에 가서 어떤 영화를 봤는지에 따라 자신의 취향을 드러낼 수 있을 정도로 영화가 다양해졌다. 그게 가장 큰 변화다.

여성영화제에서 상영하는 영화 이외에도 달라진 점이 있다. 처음에 여성영화제는 ‘페미니스트 게더링(gathering)’ 느낌이 훨씬 더 강한 자리였다. 나중에는 쟁점 세션에 좀 더 주목하게 됐다. 쟁점 세션에서 열린 포럼, 토론회 등 행사에서는 어떤 학술대회에서도 다루기 어려웠던 주제를 영화를 매개로 뜨겁게 다루었다.

여성영화제는 일주일 간 굉장히 재미있는 축제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지금 현재 담론의 장이 무엇인가, 논쟁이 어디에 집중되고 있는가, 이런 점이 가시화되는 곳이기도 하다. 거기서 많은 이야기들을 새로 알게 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다큐멘터리 <구글베이비>를 통해 처음으로 대리모 산업이 얼마나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알게 되기도 했다.

레즈비언 세션 같은 경우도 그렇다. 여성영화제 초반에는 커밍아웃 이슈가 중심이 되다가, 시간이 지나며 아이를 입양하고 이 아이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에 대한 담론으로 이동하기도 했다. 매번 같은 걸 다루는 게 아니라 주제가 계속 이동하는 장을 본 것이다. 이것도 굉장히 중요한 지점이다.

페미니스트 액티비즘 같은 경우도 그 때 그 때 이슈가 다르다. 작년 같은 경우에 디지털성폭력, 게임, 낙태 이슈가 등장했다. 그 해의 주요 이슈가 그 해의 여성영화제에 대부분 담겨 있다고 보면 된다. 올해의 여성 이슈를 총망라하는 장인 것이다.

권김현영



여성영화제에서 만난 ‘인생 영화’가 있다면?

페미니스트로서 자의식에 도움이 됐던 영화는 <전사의 징표>와 <팝의 여전사>였다. <팝의 여전사>는 미국 대중음악 씬에서 유명한 여자 가수들이 페미니스트로서 자의식을 가지고, 혹은 자의식을 가지지 않고도 겪어 왔던 여성 가수가 겪는 곤경, 도전 등을 찍은 다큐멘터리다. 보고 있으면 신나기도 하고, 대중문화 안에서 페미니즘이 어떤 방식으로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해 줄 수 있는 이런 영향들을 생각하게 해 주는 영화였다.

<팝의 여전사>를 보고 그 때 같이 봤던 사람들이 모두 흥분해서 우리도 여성음악 페스티벌 같은 걸 만들자고 뭉치기도 했다. 그래서 실제로 페미니즘 캠프 같은 걸 만들어서 꽤 오래 유지되기도 했다. 그렇지 않아도 한창 유행했던 락 페스티벌 안에서 여성들이 어떻게 배제되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던 차였고.

<전사의 징표>는 여성 할례에 맞서 싸우는 여성을 다룬다. 피해자인 여성이 완전히 전사로 그려지는 방식의 영화다. 그래서 액티비즘 차원에서 굉장히 힘이 되고, 임파워링 되는 영화였다. 그 영화를 본 다음에 모두 뭐든 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던 영화였다.

최근에는 여성영화제를 통해 아네스 바르다를 만났다. 굉장히 큰 아름다움이었다. 상탈 애커만, 제인 캠피온, 마를린 고리스, 이런 세계 여성 감독들의 계보를 여성영화제를 통해서 알게됐다. 일단 내가 좋아하는 여성 감독들의 리스트가 생겼다는 것 자체가 가지는 특별함이 있는 것 같다. 그런 게 여성영화제가 저에게 계속 제공해 준 이야기다.

대학생으로서 여성영화제를 처음 보러가셨다고 했는데, 지금은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계신다.

여성학 강사들이 초반에 여성영화제를 보러 가라고 추천하거나 숙제를 내는 역할을 많이 했다. 20대 여성들에게 여성영화제를 안내해주는 일종의 길이 하나 있었던 거다. 학생들이 여기에 내가 보고 싶었던 영화, 하지만 한 번도 있는지 몰랐던 영화가 있었다는 반응을 보이곤 했다. 그 후에는 꾸준히 자발적인 여성영화제의 관객으로 존재하게 되기도 한다. 그런 식의 관객층이 20년, 21년 시절 동안 차곡차곡 쌓여왔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저는 학교 강의를 2003년부터 시작했다. 저 역시 그 때부터 학생들에게 여성영화제를 방문해보라고 숙제를 내 주는 편이다. 요즘 학생들이 무엇에 관심을 갖고 있는지, 이 학생이 가지고 있는 시선이 무엇인지 논의하면서 영화제가 영화제 바깥에서도 논의 될 수 있는 장이 이어졌다고 생각한다.

이와 연관된 여성영화제 특유의 문화가 있기도 하다. 예를 들면 레포트를 쓰러 온 친구들 중에 GV에서 레포트를 위한 질문을 하는 바람에 그 영화를 즐기고 영화의 여운을 즐기고 싶었던 관객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경우가 있었던 것 같다.

특히 많은 경우에 남학생들이 GV에서 정말 쓸데없는 질문을 해서 관객들을 분노케 하는 일이 너무 많았다(웃음). 그래서 저는 사전에 경고를 하기도 했다. 본인이 궁금한 것이 남들도 꼭 다 같이 궁금할 거라고 생각하지 않아야 한다든지. 본인의 질문에 대한 답이 이미 영화 안에서 제공됐거나 다른 자료로 찾을 수 있는 것이라면 GV에서 물어볼 필요 없다든지. 이런 것을 사전에 안내했다(웃음). 자기는 이 문제에 동의하지 않는다든지, 심지어 이런 영화를 왜 찍냐든지, 이런 질문은 정말 곤란하지 않나. 진정하라고 미리 얘기하는 거다.

레포트 자체를 어떤 영화에 대한 자신의 크리틱을 쓰는 게 핵심이 아니라, 영화제 전체에 대한 총체적인 경험의 의미를 쓰라고 했다. 단순히 특정 영화를 보는 것 뿐 만 아니라, 여성영화제라는 이름을 가진 영화제에 간다는 건 어떤 것인지, 거기엔 어떤 영화들이 있었는지, 내가 선택한 영화는 무엇인지, 영화제 안에서 사람들은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그 풍경에 대해서 나의 감각이 어떤지, 이런 것들을 기록하는 것이다. 

어떤 남학생은 이렇게 여자들이 많은 걸 처음 봤다거나, 이런 영화제가 이렇게까지 성황리에 열리는지 몰랐다거나, 이런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비단 남학생 뿐 아니라 여학생들도 마찬가지다. 영화제 자체에 처음 가 봤다거나, 다큐멘터리를 난생 처음 돈 주고 봤다거나, 여성영화의 다양성과 힘을 느끼게 됐다는 이야기를 했다.

여성영화제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했으면 하는 그림이 있다면?

여성영화제의 규모가 부산국제영화제만큼 되어야 한다거나, 이런 생각은 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영화제 때 사람들이 페미니스트로서 서로 만나고, 아이디어를 주고 받고, 같이 뭔가를 도모해 볼 수 있는 장이었으면 한다.

예를 들면 그런 일이 있었다. 2007년인가, 2008년쯤에 신촌 아트레온에서 여성영화제가 열렸다. 너무 재미있는데 논쟁적인 어떤 영화를 보고 난 다음에, 누군가 영화관 앞에 포스트잇을 붙인 거다. “이 영화에 대해 말하고 싶은 사람, OO술집에서 모입시다.” 그걸 보고 사람들이 모였다.

저는 그런 장이 되게 좋았다. 그런 자리가 좀 더 만들어지면 좋겠다. 이 영화에 대해서 지금 얘기하고 싶은 사람 모이자, 이 영화에 감명을 받아서 우리는 뭔가 만들고 싶어졌는데 같이 하고 싶은 사람 모이자, 이런 거. 즉석에서 공통된 영화에 관련된 이야기나 의견을 나눌 만한 자리. 들어볼 만한 이야기를 해 줄 수 있는 사람을 서로 만날 수 있는 장. 그런 식의 경험을 영화제에서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예시를 너무 옛날 사람처럼 얘기한 것 같다(웃음). 그렇지만 단체카톡방이나 페이스북이나 이런 데서 사람을 모은 게 아니라, 실제로 유리벽에다가 포스트잇을 붙여서 모은 거였다. 너무 80년대처럼 느껴지나요? (웃음)

나에게 여성영화제란?

저에게 여성영화제는 여자들의 창조성을 목격하는 축제 같은 곳이다. 엄청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종류의 아이디어와 앵글과 인물들과 이야기들이 여기에만 있거든요.

또 여성영화제 후원회원의 경우 영화제를 사전에 예매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진다. 그 사전 예매 기간이 되면 아주 ‘광클’을 해서 예매를 한다. 그 때 각자 뭘 예매했는지 서로 보여주면서 우리가 얼마나 다른지 알게 된다. 그 차이가 항상 재미있다는 생각을 했다. 여성영화제는 정말 여성들 간의 차이가 재미있는 방식으로 얘기될 수 있는 곳이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텀블벅을 통해 '여성영화제의 친구, 여친'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한국 여성 감독 단편 DVD와 2020년 제22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프리패스를 포함해 다양한 리워드가 있다고 하네요.

다음 인터뷰의 주인공은 정재은 감독입니다. 기대해주세요!

 

신한슬님의 글은 어땠나요?
1점2점3점4점5점
SERIES

여성영화제의 사람들

이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 관한 다른 콘텐츠

인터뷰에 관한 다른 콘텐츠

콘텐츠 더 보기

더 보기

타래를 시작하세요

여자가 쓴다. 오직 여자만 쓴다. 오직 여성을 위한 글쓰기 플랫폼

타래 시작하기오늘 하루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