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눈으로 세계를 보자’라는 캐치프레이즈로 21년 간 여성 감독, 여성 배우, 여성 영화들을 소개한 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돌아왔다. 2019년 제21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예년보다 다소 늦은 8월29일부터 9월5일까지 열린다. 8월3일부터 9월30일까지는 텀블벅 펀딩을 통해 새로운 기획을 준비하고 있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는 '영화'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여성'들이 있다. <핀치>가 여성영화제를 만드는 사람들, 여성영화제가 배출한 감독들, 여성영화제를 사랑하고 지지하는 페미니스트들을 만나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20년에 대해 들었다. 여덟 번째 인터뷰는 2019년 제21회 여성영화제 집행위원을 맡은 추상미 감독이다.
여성영화제에 참여한 적이 있는지?
관객으로는 아니고, 단편 경선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적이 있다.
심사를 하면서 여성영화제가 되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영화제는 여기저기 늘 많이 갔는데, 대부분 그야말로 영화인들의 축제이거나 그 해에 다루어지는 이슈나 쟁점들을 위한 그런 영화제다.
그런데 여성영화제는 거기서 멈추지 않고 조금 더 다를 수 있다고 생각했다. 다양한 여성들의 연대가 일어날 수 있는 곳이 아닐까 생각했다. 거기에는 엄마로서의 연대가 있을 수도 있고, 결혼하지 않은 여성들, 직장 여성들의 연대가 있을 수도 있다. 저는 지금 '엄마'로서 고민이 가장 크기 때문에 그게 먼저 나왔다(웃음).
그렇게 다양한 여성들이 겪는 여러가지 상처들, 이슈들이 있다. 그걸 함께 공유하고, 나누고, 위로하고, 모색하고, 그럴 수 있는 커뮤니티. 그런 공동체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 저는 그게 여성들의 장점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진정한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능력. 그런 의미에서 여성영화제의 의미가 확장되고, 내적으로 깊어지고, 다져지면 좋겠다.
나에게 여성영화제란?
제가 최근에 만든 영화가 상처의 연대, 상처 입은 치유자들의 이야기다. 영어로 하면 ‘wounded healer’의 커뮤니티라고 할 수 있다. 여성들이 살면서 겪는 크고 작은 상처들이 분명히 있다고 생각한다. 에를 들면 제가 엄마가 되며면서 여러 상처를 겪게 됐는데, 평생 가는 거 같다. 상처입은 여자들의 연대에 대한 작업을 계속 하고 있다.
여성영화제도 ‘여성’영화제인 만큼 여성들의 커뮤니티라는 게 중요하다. 크고 작은 생채기가 아직 아물지 않은 분들이 많을 것이다. 저도 한 때 치열한 고민을 했던 거 같다. '내가 남자로 태어났다면 어땠을까? 여자로서 사는 삶이 나에게 지금 만족을 주는가? 합당한가?' 여자로서 겪는 여러가지 모순들이 있잖아요.
여자들만 공감할 수 있는 어떤 상처가 있다. 그런 상처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커뮤니티가 영화제인 것 같다. 그런데 그것은 단지 세상을 향하여 분노만 퍼붓고 정의만 외치는 것이 아니라, 이 상처 속에서 뭔가 좋은 게 나올 수 있을까, 여성들의 상처가 어떻게 이 사회에 선순환 될 수 있을까, 그런 고민을 해 보는 과정이 아닐까.
여성으로서 겪는 상처와 혼란 속에서 뭔가 같이 고민할 파트너를 찾고자 하시는 분들이 여성영화제에 오면 제일 좋을 거 같다. 위로가 되고 동반자가 될 수 있는 그런 영화제가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관객들에게 한 마디
안녕하세요, 추상미입니다. 여성영화제가 벌써 21회가 됐네요. 믿어지지 않습니다. 너무 축하드려요. 21회, 사람의 나이로 치면 스물한살인데, 가장 좋을 나이네요. 여성영화제도 똑같이 가장 생기 있고 재기발랄한 그런 영화제가 되지 않을까 기대가 됩니다. 이번에는 그 어느 때보다도 생기발랄한 축제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여성영화제 파이팅!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텀블벅을 통해 '여성영화제의 친구, 여친'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벌써 여성영화제 현장에서 빠르게 매진되고 있는 각종 기념 굿즈와 2020년 제22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프리패스를 포함해 다양한 리워드가 있다고 하네요.
다음 인터뷰의 주인공은 김소영 감독입니다. 기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