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 (Feminist) Scientists 시즌 2 3. 여자의 자리를 빼앗는 사람들 - 컴퓨터과학(1)

알다IT과학여성 과학자

Mad (Feminist) Scientists 시즌 2 3. 여자의 자리를 빼앗는 사람들 - 컴퓨터과학(1)

하미나

일러스트레이션 :이민

지난 연재에서는 ‘여성의 자리를 빼앗는 사람들’이란 제목으로 출산의 영역에서 여성 산파가 남성 산부인과 의사에게 밀려난 역사를 다루었다. 이번 글에서는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여성이 자신의 자리와 지위를 잃은 역사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머릿속에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는 한 사람을 떠올려보자. 그는 남자인가, 아니면 여자인가? 그는 사회성이 좋은가, 아니면 썩 좋지 않은가? 그는 세련되었는가, 아니면 촌스러운가? 또 그가 남자라면 그는 여성을 어떻게 대하는가?

미국 CBS의 시트콤 드라마 ‘빅뱅 이론’의 쉘든처럼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는 사람은 곧잘 ‘너드nerd’나 ‘긱geek’의 이미지를 갖는다(물론 빅뱅 이론의 쉘든은 프로그래머가 아니라 이론 물리학자지만). 이때 너드나 긱은 보통 남자다. 빅뱅 이론이 진지한 로맨스물이 아니라 시트콤인 것처럼 어딘지 좀 사회성이 부족하고, 여성 앞에서 늘 허둥대고, 자신을 꾸미는 데 관심이 없는, 그렇지만 어쨌든 자기 분야에서는 천재 같은 ‘너드’의 이미지는 웃음거리로 종종 소비된다. 이는 극 중 비중 있는 여성 캐릭터 ‘페니’와 대조된다. 페니는 금발의 배우 지망생이며 빅뱅 이론의 ‘너드’들에게 동료보다는 성적인 대상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너드’ 이미지를 직업의 전문성 획득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이 이미지는 남성에게는 유리하게, 여성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한다.

위 이미지는 구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연출되어 실제 이미지와 다를 수 있습니다. 


여성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너드nerd’나 ‘긱geek’ 이미지

미국 UCLA 사회학자 제인 마골리스와 카네기멜론대학의 컴퓨터과학과 교수 알란 피셔는 컴퓨터과학을 전공하는 사람에 대한 딱히 근거 없는 이미지의 근원이 컴퓨터과학의 역사 초기 해커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보면서 이러한 고정관념, 그들의 표현에 따르면 ‘geek myth’가 컴퓨터과학 전공 여학생에게 해롭다고 주장한다. 컴퓨터과학을 전공하는 사람은 ‘geek’ 같아야 한다는 신화 때문에 이러한 이미지를 가지지 않는 여학생이 몇 학기 만에 스스로 자기가 이 분야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마골리스와 피셔 교수는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카네기멜론대 컴퓨터과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이 연구를 발표했는데, 컴퓨터과학 전공 여학생들이 인터뷰에서 밝히기를, 자신이 남자 학생들과 같은 입학 기준에 따라 학교에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네가 단지 여자라서” 입학할 수 있었다는 말과 늘 싸워야 했고, 그래서 더 늘 소모적으로 자신을 의심해야 했다고 전한다(Margolis and Fisher, 2003).

미국 인디아나대(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의 정보학 교수 나단 엔스멘저의 연구는 ‘너드’와 ‘긱’의 이미지는 실제로 컴퓨터과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재현한다기보다는 고정관념에 불과하며 더불어 이러한 이미지가 컴퓨터와 관련한 직업 세계가 차근차근 만들어지는 역사에서 남성에게 대단히 중요한 무기과 자원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곧, 사회적이지 않고, 성적이지 않고, 논리정연하고, 좁고 깊은 전문성을 보이는 너드와 긱의 이미지가 단순히 실제의 개발자를 묘사하는 말이 아니라 개발자가 ‘어떤’ 사람들이 되어야 하는지를 암시하는 특정한 비전을 논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러한 비전에 여성은 당연히 포함되지 않는다(Ensmenger, 2015).

일러스트 이민


최초의 프로그래머는
여자였다

오늘날 소위 ‘개발자’의 비율은 남성이 월등히 높고 그들의 임금 역시 높다. 이 업계의 평균 임금이 높고 취직률이 높다는 점 때문에 요즘 젊은 여성 사이에서는 프로그래밍을 익혀서 IT업계에 진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사실 좀 더 자세하고 엄밀히 살펴보면, 여성 개발자가 늘어나는 (혹은 늘어날) 현상은 남성이 주도권을 잡았던 영역에 여성이 발을 들인다기보다는 원래 여성의 영역이었던 것을 되찾는 일에 가깝다. 최초의 프로그래머는 여자였고, 이들은 컴퓨터과학 발달의 역사에서 무척 중요한 일을 해왔기 때문이다.

1946년에 완성된 최초의 대형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인 에니악(ENIAC·Electronic Numerical Integrator and Calculator)은 현대 컴퓨터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에니악은 전쟁을 거치며 발전했는데 이때 에니악 프로젝트를 이끈 사람들은 과학자, 엔지니어, 군인 간부들과 같은 남자들이었다. 이들의 주된 관심은 전자식 컴퓨터 시스템을 구상하고 디자인하는 데 있었고, 이에 비해서 실제로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일은 사소하게 여겨졌다.

남성이 구상한 컴퓨터를 실제로 작동시키는 것은 여성의 몫이었다. 당시 에니악 프로젝트의 관리자들은 전자식 컴퓨터가 손으로 수학 계산을 하던 것을 자동화한 것뿐인 중요하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컴퓨터(computer)라는 명칭이 계산한다는 뜻에서 기인했고, 또 과거에는 기계에 도움 없이 수학 계산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곧 전자식 컴퓨터를 실제로 작동시키는 여성은 여성 ‘컴퓨터’로 여겨졌다. 한편 남성 매니저들은 여성 컴퓨터들을 관리 감독하면서 이들이 준비된 채(“set up”)채로 전자 장치처럼 일하도록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성별 분업은 1947년 허만 골드스타인과 존 폰 노이만이 에니악 프로젝트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매뉴얼 책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들은 컴퓨터 개발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노동에서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나눈다. 먼저 문제를 분석하고, 그것을 수학적으로 풀어내는 ‘지적인’ 역할을 하는 설계자(planner). 그리고 설계자의 아이디어와 문제의 해결법(solution)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기계적으로’ 번역하는 일을 하는 코더(coder·컴퓨터 프로그래머의 다른 말)(Goldstine and Neumann, 1947 (Ensmenger, 2015에서 재인용)).

코더의 일은 기계적이고 단순 반복적인 일로 여겨졌고 이에 저임금을 받았고 비가시화 되었다. 이것이 코더가 주로 여성에 의해 수행된 이유였다(Light, 1999: 455-483 (Ensmenger, 2015에서 재인용).

이처럼 노동의 가치가 저평가되는 일을 여성에게 맡기는 것은 비단 컴퓨터과학에서만의 일이 아니었다. 산업화는 저임금과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은 노동자에게 의존하는데, 이러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들은 곧잘 여성이다. 1960-70년대 한국에서도 ‘시다’와 ‘미싱’ 으로 불리며 장시간 저임금의 공장노동을 감당한 여성 노동자들은 한국 산업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 사람들이나 ‘공순이’로 불리며 노동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차별과 멸시를 당하곤 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역사에서도 여성 ‘코더’들은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여성 코더와 남성 설계자의 구분이 조금씩 무너지고 남성 코더가 생기기 시작했는데 이는 코더의 몸값이 오르면서부터다.

(다음 편에서 계속)

참고문헌

Ensmenger, Nathan. "“Beards, Sandals, and Other Signs of Rugged Individualism”: Masculine Culture within the Computing Professions." Osiris 30.1 (2015): 38-65.

Jane Margolis and Allan Fisher, Unlocking the Club house: Women in Computing, Chap 4. Geek Mythology & Chap 5. Living Among the Programming Gods: The Nexus of Confidence and Interest (MIT Press, 2003).

Herman goldstine and John von Neumann, Planning and Coding of Problems for an Electronic Computing Instrument (Princeton, N.J., 1947).

Jennifer light, “When Computers Were Women,” Tech. & Cult. 40 (1999): 455–483.

 

하미나님의 글은 어땠나요?
1점2점3점4점5점
SERIES

Mad (Feminist) Scientists

IT에 관한 다른 콘텐츠

과학에 관한 다른 콘텐츠

여성 과학자에 관한 다른 콘텐츠

콘텐츠 더 보기

더 보기

타래를 시작하세요

여자가 쓴다. 오직 여자만 쓴다. 오직 여성을 위한 글쓰기 플랫폼

타래 시작하기오늘 하루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