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버스터 움 10. 홈커밍

알다여성 영화여성 주인공

블록버스터 움 10. 홈커밍

느티

일러스트레이션: 이민

편집자 주 : 막대한 제작비를 들여 흥행에 크게 성공한 대작 영화를 '블록버스터'라 부른다. <핀치> 사전의 '블록버스터'는 의미가 조금 다르다. 막대한 제작비는 들이지 않았을지라도, 흥행에 크게 성공한 적은 없을지라도, 여성이 주인공인, 여성들을 위한, 여성들의 숨겨진 대작 영화를 소개한다. '움'은 <이갈리아의 딸들>에 나오는 여성 및 일반 사람을 지칭하는 일반명사다(남성은 맨움이라고 부른다). 언젠가 움의 영화가 블록버스터를 지배하는 그 날까지.

 

<홈커밍(HOMECOMING)>, 2019, Netflix

시작부터 압도적이다. 입을 딱 벌린 채 눈을 뗄 수가 없다. 흠잡을 데 없는 가창력과 춤에 관한 이야기만이 아니다. 올해 4월 17일 공개된 넷플릭스(Netflix) 다큐멘터리 비욘세의 <홈커밍>은 지난해 열린 ‘코첼라 페스티벌’ (Coachella Valley Music and Arts Festival 2018)에 오른 비욘세의 공연 실황을 담은 영상이면서, 그 무대에 오르기까지 비욘세가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지를 보여주는 기록영상이다.

비욘세의 코첼라 무대는 20년 넘게 슈퍼스타로 살아온 비욘세가 아티스트로 꾸준히 성장하며 오른 어떤 ‘정점’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공연은 그렇게 단순하게 설명할 수만은 없다. 코첼라 페스티벌은 미국의 대표적인 음악 축제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사막지대 코첼라 밸리에서 열린다. 출연진이 발표되기 전에 매표가 시작될 만큼 높은 인기를 누린다. 

비욘세가 코첼라 무대에 선 것은 ‘사건’이었다. 비욘세는 2018 코첼라 페스티벌 헤드라이너였는데, 이는 여성으로는 세 번째이자 흑인 여성으로서는 최초의 일이었다. 코첼라가 2001년부터 시작되어 20년 가까이 되어가는 축제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미국 대중문화산업에서 여성의 위치를 가늠해볼 수 있는 일이다.

작품 내외적으로 페미니즘과 인종차별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해온 비욘세가 이 무대를 그저 자신의 이력에 화려한 한 줄을 더하는 기회로만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당연하다. 비욘세는 그야말로 ‘놀라운 무대’로 코첼라를 자신의 콘서트로 만들어 버렸다. 이 무대를 함께 준비한 프로듀서가 농담하듯 ‘비첼라(BeyChella: Beyonce + Coachella)’라가 될 것이라며 던진 말은 공연 이후 그대로 대중들이 비욘세에게 바치는 헌사가 되어버렸다. 

비욘세라는 사건

일러스트 이민

이 공연은 시청각적으로 대단한 경험인데, 당대 ‘흑인문화’의 정수를 길어 올려서 만들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홈커밍'은 중의적이다. 이 말은 일반적으로 미국 대학에서 졸업생들이 학교에 돌아와 재학생과 만나는 행사를 의미한다. 비욘세는 영화에서 자신이 HBCU(Historically black colleges and universities) 중 한 곳에 입학하고 싶었다고 밝힌다. HBCU는 미국 내 흑인 커뮤니티의 교육을 위해 1964년 이전에 세워진 고등교육기관들을 가리킨다.

비욘세는 이렇게 말한다. 

데스티니스 차일드가 대학이었고, 공연 투어가 수업이었고, 인생이 선생님이었다. 

일찌감치 활동을 시작하면서 대학 생활을 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담긴 고백이지만, 비욘세의 ‘홈커밍’은 단지 제도교육 바깥에서 ‘성공한’ 사람의 금의환향을 보여주기 위함이 아니다. HBCU는 교육기회에서 소외된 흑인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주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이곳은 백인 중심 사회에서 인간 대우를 받지 못했던 존재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스스로의 정체성과 세상을 새롭게 인식하는 장이었다. 이곳에서 차별받는 자들은 저항하는 자로 자신을 바꾸어갔다. 1960년대 초반에 불붙었던 미국 인권운동에서 HBCU 출신들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HBCU은 인종차별이 여전히 큰 문제인 미국 사회에서 아프로-아메리칸 커뮤니티의 정체성 형성과 성장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 공간이다. HBCU의 ‘홈커밍’은 마치 슈퍼볼(미국 풋볼리그의 챔피언 결정전) 같은 것이다. 그 축제의 날에 ‘흑인들의 국가’(노예를 해방한 링컨 대통령의 업적을 기리며 발표된 시에 곡을 붙인 'Lift every voice and sing')가 불린다는 점은 이러한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비욘세는 HBCU가 가진 의미를 적극적으로 ‘홈커밍’ 공연에 끌어온다. 대학의 동창회는 선후배간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그들이 가진 자원을 서로 나누며 그 집단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기획되는 행사이다. 비욘세는 자신이 다닌 ‘대학’을 통해 얻은 경험과 자산을 가지고 어린 세대들이 자신의 능력을 펼치고 인정 받는 기회의 장으로 ‘홈커밍’ 공연을 구성한다.

흑인으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를 만들고 싶었다. 스텝 댄서와 보컬 등 개성이 강하고 다양한 사람들을 모으고 싶었다. 이 어린 친구들이 가진 끼는 엄청나다. 그들의 몸짓, 음악, 드럼, 헤어스타일까지 멋있다. 불공평했다. 그렇게 묻히기엔 아까운 개성들이었으니까. 감격할 만큼 아름다운 개성을 가지고 있다. 외모 때문에 거절당한 이들이 다시 모여 무대에 함께 설 수 있기를 바랐다. 무대를 부숴버리는 거지.

비욘세의 말처럼 사회가 부정한 몸을 가진 이들은 개성 있고, 새로우며, 놀라운 수준의 무대를 보여주었다. 비욘세의 코첼라 공연은,  인종차별적 사회에서 흑인으로 성장하는 특정한 경로를 거쳐서만 가능한 일이었으며, 그로 인해 탈락된 무수한 아름다움이 있었음을 강력히 웅변한다. 

또한 파워를 만들고 서로를 임파워링하는 방식에 있어서 어떠한 태도가 필요한지도 보여준다. 성장은 유대감 속에서 이루어진다. 나의 가능성과 변화에 대한 믿음을 가진 이들, 나를 격려하는 사람들 사이에 있을 때 사람은 더 잘 성장할 수 있다.

미국 사회에서
가장 존중받지 못하는 계층은
흑인 여성이다

페미니스트로서의 성장은 비욘세를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지점이다. 한 때 “나는 페미니스트는 아니지만...”이라고 말했던 비욘세는 자신의 이름을 내건 앨범 'Beyonce'부터 페미니스트로서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홈커밍’의 도입부를 채우는 “미국 사회에서 가장 존중받지 못하는 계층은 흑인 여성이다. 가장 보호받지 못하는 것도, 가장 무시당하는 것도 흑인 여성이다”라는 말콤엑스의 목소리는 'Beyonce'에 이은 'Lemonade' 앨범에서 이미 인용된 내용이다. 비욘세는 공연 내내 여성들을 호명하고 그들의 존재를 긍정하며 스스로를 믿고 자유롭고 과감하게 살아갈 것을 요청한다.

<홈커밍>은 여러 가지 측면으로 비욘세라는 인물에 관해 말한다. 비욘세는 오랜 시간 정점에 선 아티스트이며, 수완 좋은 사업가이기도 하고, 세 아이의 엄마이기도 하다. 비욘세는 원래 코첼라 페스티벌에 2017년에 섰어야 했다. 그러나 쌍둥이를 임신하면서 공연을 1년 뒤로 미룬다. 

임신 기간 동안 비욘세는 몸무게가 90kg이 넘어갔고, 고혈압과 임신중독증으로 고생했다. 출산 후 변해버린 몸을 공연을 위한 몸으로 되돌리는 과정은 극한의 노력을 필요로 했다. 그 과정의 어려움은 짧은 스케치로 ‘홈커밍’ 영상에 담겼다. 그 과정에서 그녀는 50명의 팀장을 진두지휘하면서 콘서트의 아주 작은 디테일까지 챙겨내는 대단한 능력을 보여준다.

누구나 비욘세일 수는 없지만
누구나 자기 자신일 수는 있기에

연약한 모습을 드러내길 주저하지 않는 솔직함, 인권과 페미니즘에 대한 지향, 그러한 태도를 체화하고 팀원들의 신뢰를 끌어내는 수평적 리더로서 비욘세의 모습은 감동적이다. 

그런데 이 감동 앞에서 나는 조금 머뭇거리게 된다. 비욘세는 대단하지만, 누구나 이렇게 대단할 수는 없다. 나는 한 인간이 지니는 강함의 의미가 어떠한 능력을 드러내는 것으로만 설정되기를 바라진 않는다. 물론 이는 비욘세에 대한 비판이 아니다. 

20년의 코첼라 역사에서 흑인 여성 아티스트로 헤드라이너에 선 것이 비욘세가 최초라는 사실에서 드러나듯이, 여성들의 능력이 주류사회에서 가시화되기 위해서, 항상 여성들은 엄청난 수준의 능력을 증명하기를 요구받는다. 그래서 여성들에게 ‘강하다’는 말은 늘 긴장 속에 놓여 있다.

비욘세가 페미니스트로서 보여주는 모습에 대해서는 아마도 다양한 평가가 있을 것이다. "20cm 킬힐을 신은 페미니스트가 가능한가?"라는 질문과 비판도 분명히 유효하다. 그러나 누구라도 그가 흑인 소녀들에게 자긍심을 주는 존재라는 점을 부인하긴 어렵다. 슈퍼스타의 페미니즘이 가진 힘에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는 사람도 있겠지만, 비욘세의 메시지에는 가슴을 뜨겁게 채우는 강한 에너지가 있다.

희망을 가지라는 게 아니에요. 희망이 되라는 거예요.

그것은 사회적으로 대단한 사람이 되라는 주문이 아니라, ‘내’가 되라는 주문이라서다. 나를 발견하려는 여성, 나로 살고자 하는 여성들은 그러지 않았던 이전으로 절대 돌아가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느티님의 글은 어땠나요?
1점2점3점4점5점
SERIES

블록버스터 움

이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여성 영화에 관한 다른 콘텐츠

여성 주인공에 관한 다른 콘텐츠

콘텐츠 더 보기

더 보기

타래를 시작하세요

여자가 쓴다. 오직 여자만 쓴다. 오직 여성을 위한 글쓰기 플랫폼

타래 시작하기오늘 하루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