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선택지가 없다면, 살인하는 남자보단 살인하는 여자가 되고 싶어요.
드라마 <그레이스>(넷플릭스, 2017) 그레이스 마크스
배우를 여배우라 부르고, 경찰을 여경이라 부르고, 교사를 여교사로 부르는 것은 많은 경우 성차별의 맥락을 벗어나지 못한다. 명사의 여성화는 대부분 원래 호칭이 가진 전문성과 받아 마땅한 존중을 격하하는 불순한 의도로 쓰인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그레이스>의 그레이스는 이 지점에서 기묘한 전복을 시도한다. ‘살인마’의 여성형, 살인하는 여자(murderess).
그레이스는 호칭이라기보다 낙인에 가까운 정체성에 ‘여성’을 붙여 이것을 한층 각별하게 받아들인다("I’d rather be a murderess than a murderer if those are the only choices."). 인간 사회에서 최악의 존재로 여겨지는 살인마. 더 격하될 것도 없는 존재. 여기에 불순한 의도가 한 겹 더 씌워진들, 그것은 오히려 악한 존재로서 한 발짝 탁월해진다는 의미는 아닐까?
유명한 ‘살인녀’로 언론과 사교계의 관심과 의심의 한가운데에 놓여있는 ‘스타 살인마’ 그레이스. 그는 자신의 위치를 아주 잘 알고 있다. 여자 살인마가 맞닥뜨린 대중의 질문은 주관식이 아니라 객관식 문제다. 다음 중 그레이스의 정체를 고르시오. 1번, 순수하고 결백하고 항상 당하기만 했던 가련한 피해자. 2번, 모든 것을 조종하는 흑막으로 똑똑하고 잔인하고 악랄한 가해자. 그 중간 어딘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중은 답을 원한다. 그녀를 응원하고 도와줘야 하는가? 그녀를 처벌하고 가두고 고통을 줘야 하는가?
그레이스는 이야기의 유일한 화자로서 가장 큰 권력을 쥐고 있다. 우리는 그레이스를 둘러싼 사람들처럼, 오직 그레이스가 털어 놓는 대로만 그의 과거를 듣는다. 한 편 그레이스는 정신과 의사 사이먼 조단의 ‘내담자’로서 탐구 당하고 파헤쳐지고 이성에 의해 정복당해 파악될 운명이다. 그는 철저한 ‘대상’이다. 실험 당할 동물, 탐험 되어질 오지, 관찰 당할 미지의 존재.
그레이스는 서술자이자 연구대상으로서 자신이 가진 권력을 아주 잘 알고 있다. 또한 대중이, 남성 정신과 의사가 여자 살인마에게 갖는 욕망이 어떤 것인지 잘 알고 있다.
그레이스는 이 두 가지를 자유자재로 활용해 자신의 존엄을 잃지 않으면서도 최선의 결과를 향해 전략적으로 나아간다. 그 과정에서 그레이스는 여성에 대한 사회의 차별과 편견에 맞서 싸우거나 이를 수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을 충실히 극대화해 철저히 사적으로 이용한다. 그런 점에서 그레이스는 이 드라마의 영어 제목 그대로 ‘공범’(alias)이다. 위대한 공범, 그레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