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지로 웃지 말 것.

핀치 타래정신건강공대에세이

억지로 웃지 말 것.

'싹싹한' 여학생을 포기하기.

철컹철경

지침 1. 웃지 말 것.

예전에 어떤 예능 프로그램에 나온 여자 아이돌이 웃지 않았다는 이유로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흔한 일이다. 그전에 뭐 애교를 시켰는데 안 했다던가, 표정이 굳어 있다던가. 처음에 그런 주제로 인터넷이 떠들썩해지면 처음에는 '뭐야 별 거 가지로 난리네'했다가 그들을 향한 비난 댓글 등을 보면(그것도 논리적이고 똑똑한 문체로 마구 까는 사람들) 나도 '어 그런가 봐 걔가 잘못한 건... 가?' 하는 생각을 하곤 했다.

대학 몇 년 동안, 나는 미소가 기본값이 되었다.

공대 중에서도 여학생이 적은 과였다. 오티를 갔던 날, 10명의 남학생 중 1명 내지 두 명이 여학생임을 알았다. 그리고 그날, 나는 '꾸미는 여학생'과 그렇지 않은 여학생이 받는 다른 대우를 공기로 느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강의를 들으면서, 이 몇 없는 여학생들은 내가 헷갈릴 정도로 비슷한 풍으로 꾸미고 다녔고(흔히 새내기룩이라고 하는데 남학생 새내기룩은 본 적 없지 않으신가요), 남자애들 또한 비슷한 느낌으로 다녔으나 꾸민 느낌은 없었다. (그냥 흔한 공대생 느낌이었다.)

반수 실패로 애매한 복학을 한 나는,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싶어서 눈이 아파도 렌즈를 끼고, 백팩 대신 예쁜 숄더백을 들고 전공책을 또 다른 손에 들었다. 

그리고 항상 웃고 있었다. 

그 모든 것에 현타가 와서 그냥 모자 쓰고 안경 쓰고 머리 질끈 묶고 백팩이나 대충 에코백을 들고 다녀도 미소만은 놓지 못했다.

그러던 나는 졸업이 다가오면서 많은 팀 프로젝트를 했다. 항상 팀 중 나 혼자 여자였고, 나이가 가장 많은 남학생은 어떻게든 나를 가르치려고 들었다. 그들은 나와 같은 학년이었으며 심지어 그중 어떤 아이는 우리 과가 아닌데 우리 과 전공지식으로 나를 타박을 주었다. 그 괴롭힘과 무시는 점점 인격적 모독 수준까지 갔다. 이에 대응하고, 팀 분위기에서 살아남기 위해 내가 가장 먼저 버린 것은 '웃는 얼굴'이었다. 

아닌가? 미소를 버렸다기보다는 '억지로 웃지 않을 것'을 선택했다.

공대 특성상, 여학생인 나는 항상 막내였고, 소수였다. 그렇기에 남학생들은 알 수 없는 팀워크가 있었고, 그들 사이의 서열도 있었다. 그러나 나는 어울려 줄 필요가 없지 않은가. 그래서 웃지 않았다. 

그렇다고 굳은 표정을 계속한 것은 아니고, 웃기지 않은데 억지로 웃지 않았다. 웃기거나 즐거우면 웃었다. 적당히 예의를 차렸다. 더 나아가서 무례하면 정색도 했다. 기본값을 +100에서 0으로 다시 설정한 순간부터, 나의 팀 프로젝트 생활이 훨씬 쉬워졌다. 

누군가가 웃지 않는다고 뭐라고 하면, 

'웃기면 웃을게. 날 웃겨보도록'

라고 말하며 미소 지었다. 

아직 재수 없는 소리를 들었을 때 정색하면서 '사이다' 대응은 하지 못한다. 그러나 강압적인 아버지나 그 형제들 사이에서 항상 웃거나 싹싹해야했던 장녀인 내가, 억지로 미소를 짓지 않은 건 굉장히 큰 발전이자 시작이었다.

SERIES

여러분, 같이 너드가 되어요

철컹철경의 최신 글

더 많은 타래 만나기

비건 페미 K-장녀 #1 가족의 생일

가족들과 외식은 다이나믹해지곤 한다

깨비짱나

#페미니즘 #비건
다음주 호적메이트의 생일이라고 이번주 일요일(오늘) 가족 외식을 하자는 말을 듣자마자, 다양한 스트레스의 요인들이 물밀듯이 내 머리속을 장악했지만 너무 상냥하고 부드럽고 조심스럽게 나에게 일요일에 시간이 되겠냐고 오랜만에 외식 하자고 너도 먹을 거 있는 데로 가자고 묻는 말에 못이겨 흔쾌히 알겠다고 해버린 지난주의 나를 불러다가 파이트 떠서 흠씬 패버리고 싶은 주말이다. 이 시국에 외식하러 가자는 모부도 이해 안가지..

4. Mit Partnerin

여성 파트너와 함께

맥주-

#여성서사 #퀴어
여성 파트너와 함께 이성애 규범과 그 역할에 익숙해진 내가, 동성애를 하기 위한 일련의 역할들과 그 수행에 익숙해지기까지는 조금 시간이 걸렸다. 대부분의 시간에 나는 실용적- 불필요한 장식이 없고 기능에 충실한-인 옷을 입고 있기 때문에, 여가로 쓸 수 있는 시간에는 사회에서 ‘여성적’ 이라고 해석하는 복장을 하고 있기를 좋아한다. 하늘하늘하고, 레이스나 프릴이 달려 있고, 패턴이 화려한 옷들. 재미있는 것은 패턴..

세 사람

세 사람

이운

#치매 #여성서사
1 요즘 들어 건망증이 심해졌습니다. 안경을 쓰고서 안경을 찾고 지갑은 어느 가방에 둔 건지 매번 모든 가방을 뒤져봐야 합니다. 친구들은 우리 나이 대라면 보통 일어나는 일이라며 걱정 말라하지만 언젠가 나에게 소중한 사람들이 생겼을 때 그들까지도 잊게 되면 어떡하지 라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하루는 수영을 다녀오는데 그날따라 비도 오고 몸도 따라주질 않아서 바지가 젖을 것은 생각도 안하고 무작정 길가에 털썩 주저앉..

보장 중에 보장, 내 자리 보장!

이운

#방송 #여성
나는 땡땡이다. 아마 팟캐스트 ‘송은이 김숙의 비밀보장’을 듣는 사람들이라면 내가 무슨 말을 하는 건지 바로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이 팟캐스트는 쓰잘데기 없는 고민에 시간을 올인하고 있는 5천만 결정장애 국민들을 위한 해결 상담소로, 철저하게 비밀을 보장하여 해결해 준다는 취지하에 만들어진 방송이다. 그리고 ‘땡땡이’는 이 취지에 맞게, 사연자의 익명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하다 만들어진 애칭이다. 비밀보장 73회에서..

13. 대화하는 검도..?

상대의 반응을 보며 움직이라는 말

이소리소

#검도 #운동
스스로를 돌이켜보기에, 다수의 취향을 좋아하는 데 소질이 없다. 사람들이 아이돌이나 예능 얘기를 꺼내기 시작하면 체온이 2~3도는 뚝뚝 떨어지는 것 같다. 대화에 섞일 적당한 말이 뭐 있지? 가만히 있어도 괜찮을까? 뭐라도 이야깃거리를 던져보지만 진심이 없어서인지 어정쩡한 말만 튀어나온다. 결국 혼자 속으로 “난 만화가 더 좋아.."라며 돌아서는 식이다. 맛집에도 크게 관심이 없고, 어째 운동 취향도 마이너한 듯하고.....

[제목없음] 일곱 번째

누군가를 만난다는건.

제목없음

#여성서사
누군가를 만난다는건 참으로 어렵다. 나같은 경우에는 끊임없이 되물어봤다. 그리고 의심했다. '저 사람은 만나도 괜찮은걸까?' '내가 착각하고 있는건 아닐까?' 처음에는 설레기도 하고 잘 맞는 사람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안한 마음은 사라지지 않는다. 과연 내가 누군가를 만나도 괜찮은걸까? 순간의 감정으로 선택한 것은 아닐까? 꼬리에 꼬리를 물다가 결국에는 좋으니까로 결론이 난다. 좋은걸 어떡하나? 만나야..
더 보기

타래를 시작하세요

여자가 쓴다. 오직 여자만 쓴다. 오직 여성을 위한 글쓰기 플랫폼

타래 시작하기오늘 하루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