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시각의 할머니 (1)

핀치 타래가족관계

내 시각의 할머니 (1)

우리 할머니가 어떤 사람이었냐면요

순간의 유일

난 할머니의 생애를 알지 못한다. 내게 할머니는 언제까지고 할머니라는 존재였으며 그 우매한 당연함에 의문을 가지지 않고 나는 평생을 살아왔다.  일본에서 한국인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나 도미꼬라는 이름으로 살아오셨다. 할아버지와 중매로 얼굴 한번 보지 않고 결혼하고 난 후 한국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정도만 알고 있다. 그러고 보면 할머니는 한글을 잘 알지 못했다.  어릴 적 시골에 내려가서 자고 올 때면 할머니는 밤에 내게 신나게 자랑하셨다. 요즘 내가 이런 걸 배우는데 재미있더라, 노인들한테 한글 가르쳐 주는 건데 유익하더라. 나는 그제서야 할머니가 한글을 쓰고 읽지 못하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래서 나한테 항상 편지를 읽어 달라고 했었구나 알게 되었다. 만학도인 할머니를 응원하였고 내 이름으로 가득한 초등학생용 칸 공책을 보며 나는 웃었다. 우와, 할머니. 이제 내 이름도 쓸 줄 알아? 


할머니는 예민한 사람이었다. 할머니네 시골은 화장실이 집 밖에  따로 있는, 그야말로 옛날 집이었는데 , 나는 그 불 하나 없는 화장실을 무서워했다. 최근이야 수세식 변기로 바뀌고 집안의 욕실에도 변기가 생겼지만 어릴 땐 귀신이, 괴물이 나를 잡아갈 것 같아서 꼭 할머니를 깨워 화장실에 같이 갔다. 같이 가서도 절대 문 닫지 말고 노래 불러 달라고 졸랐던 어릴 적의 나를 기억한다. 할머니, 거기 있지? 그래, 있다. 할머니 거기 있지? 할머니는 당시 내가 알 수 없던 진달래 가사가 들어가는 노래를 불렀고, 나는 쏜살같이 화장실에서 튀어나왔다. 당시의 화장실은 손으로 천장에 있는 고리 레버를 당겨 물을 내리는 형식이었는데 그것조차 할머니한테 해 달라고 졸랐으니 오죽 우스우셨을까. 

시골에 가면 할머니는 나 때문에 항상 얕은 잠을 주무셨다. 아무리 작은 목소리로 할머니를 불러도 할머니는 꼭 깨어나셨고 화장실 가고 싶나? 하며 몸을 일으켰다.  혹여 우리 강아지, 목마를까 머리맡에 버섯 끓인 물을 두셨으면서도 새벽에는 직접 따라 주었다. 어떤 날에는, 뒤돌아서 주무시고 계시는 할머니를 보고 화장실에 가자고 막 깨우려던 참이었다.  얼마나 작게 불러야 할머니가 안 깰까. 내가 낼 수 있는 가장 작은 목소리로 할머니를 불렀다. 할머니는 어김없이 일어났고 나는 웃었다. 현재까지도 물론 자고 있는 할머니 옆에 가서 할머니, 부르면 돌아오는 말. “와 부르노, 우리 아가 화장실 가고 싶나. 같이 가까. ”


할머니는 음식하는 것을 좋아하셨다. 사실 좋아하셨는지는 모르겠다. 할머니는 음식을 먹이는 것을 좋아하셨다. 꼭 손녀딸인 나만을 위해서가 아닌 그 어떤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좋아하셨고 그 분들은 항상 우리 할머니 음식 솜씨에 대해 입이 마르도록 칭찬하시고는 하셨다.  한 번은, 할머니 집 옆에 있는 작은 도랑 위에 콘크리트 작업을 하게 되었는데  작업하시는 분들이 많이 오셨더란다. 식사 때가 되어 식사를 제공해 주었는데  다른 반찬도 많은데 김치를 가지고, 살다가 이렇게 맛있는 김치는 먹어 본 적이 없었다며 엄지를 치켜 세우시더란다. 조잘조잘 작은 입으로 자랑하시며 우습다고 웃으시는 할머니를 생각하면, 할머니는 당신의 솜씨를 자랑하는 것을 좋아하셨었나 보다. 


자취를 시작하고 난 이후로, 엄마와 싸우는 일이 잦아졌다. 따로 살게 된 만큼 머리가 큰 만큼 나는 엄마와 갈등이 잦아졌다.  엄마와의 통화 이후 울고 불고. 이 답답함을,  이 속상함을 누구에게 말할까.  할머니한테 전화를 걸었다. 그래도 할머니는 엄마의 엄마도 아니고, 아빠의 엄마니까 괜찮겠지. 허허 웃으며 내 말을 듣고는 “애미가 그러드나. 애미가 뭐라고 혼내드나.” 내 편 들어 줄까 싶어 맞다고 맞다고, 너무하지 않냐고. “느그 엄마도 생각이 있으니까 그리 말 안 했겠나. 느그 엄마도 어찌나 힘들었겄노.” 할머니 너무해. 왜 내 편은 안 들어? 하면 허허실실 웃으시며 어른이 되면 다 알게 될 거라고 하시던 말씀을 못 잊는다. 훗날 알게 되었지만, 엄마 아빠가 이혼을 한 이후에 내가 엄마 얘기를 했던 거였더라. 우리 엄마는 아직도 나한테 이런 시부모 없다고  내가 시부모님 복을 너무 크게 받는다고 말씀하신다. 엄마한테 위 얘기를 한 적은 없지만  나도 할머니를 통해 보고 겪은 게 많아 나로서도 동의하는 바이다.

SERIES

사랑한다 할머니가

순간의 유일의 최신 글

더 많은 타래 만나기

[제목없음] 일곱 번째

누군가를 만난다는건.

제목없음

#여성서사
누군가를 만난다는건 참으로 어렵다. 나같은 경우에는 끊임없이 되물어봤다. 그리고 의심했다. '저 사람은 만나도 괜찮은걸까?' '내가 착각하고 있는건 아닐까?' 처음에는 설레기도 하고 잘 맞는 사람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안한 마음은 사라지지 않는다. 과연 내가 누군가를 만나도 괜찮은걸까? 순간의 감정으로 선택한 것은 아닐까? 꼬리에 꼬리를 물다가 결국에는 좋으니까로 결론이 난다. 좋은걸 어떡하나? 만나야..

말 하지도 적지도 못한 순간들 -14

환자가 떠난 후 남은 딸이 할 일

beforeLafter

#죽음 #장례
상속인 조회 서비스 조회 완료 후 한 달 정도는 은행과 보험 정리에만 매달렸다. 사실 지점이 많이 없는 곳은 5개월 여 뒤에 정리하기도 했다. 그 사이에는 자동차 등을 정리했고 건강보험공단, 연금공단, 주민센터 등을 방문했다. 상속인 조회 서비스에 나온 내역들을 한꺼번에 출력해 철 해 두고 정리될 때마다 표시해두고 어떻게 처리했는지(현금수령인지 계좌이체인지 등)를 간략하게 메모해두면 나중에 정리하기 편하다. 주민..

비건 페미 K-장녀 #1 가족의 생일

가족들과 외식은 다이나믹해지곤 한다

깨비짱나

#페미니즘 #비건
다음주 호적메이트의 생일이라고 이번주 일요일(오늘) 가족 외식을 하자는 말을 듣자마자, 다양한 스트레스의 요인들이 물밀듯이 내 머리속을 장악했지만 너무 상냥하고 부드럽고 조심스럽게 나에게 일요일에 시간이 되겠냐고 오랜만에 외식 하자고 너도 먹을 거 있는 데로 가자고 묻는 말에 못이겨 흔쾌히 알겠다고 해버린 지난주의 나를 불러다가 파이트 떠서 흠씬 패버리고 싶은 주말이다. 이 시국에 외식하러 가자는 모부도 이해 안가지..

말하지도 적지도 못한 순간들 -12

환자가 떠난 후 남은 딸이 할 일

beforeLafter

#죽음 #장례
끝났다. 사흘 간의 지옥같고 전쟁같고 실눈조차 뜰 수 없는 컴컴한 폭풍우 속에서 혼자 소리를 지르는 것 같았던 시간이 끝났다. 끝났다는 것이 식이 끝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이 더 절망스럽다. 불과 사흘 전만 해도 물리적으로 사회적으로 엄연히 존재했던, 60여년을 살았던 한 '사람'을 인생을 제대로 정리할 시간조차 갖지 못한 채 후루룩 종이 한 장으로 사망을 확인받고, 고인이 된 고인을 만 이틀만에 정리해 사람..

말하지도 적지도 못한 순간들 -13

환자가 떠난 후 남은 딸이 할 일

beforeLafter

#죽음 #상속
장례도 끝났고 삼오제(삼우제)도 끝났다. 49재의 첫 칠일 오전, 나는 일하던 도중 이제 식을 시작한다는 가족의 연락을 받고 창가로 나와 하늘을 보며 기도했다. 부디 엄마의 영혼이 존재해서 젊고 건강할 때의 편안함을 만끽하며 여기저기 가고 싶은 곳을 실컷 다니고 있거나, 혹은 그 생명의 끝을 끝으로 영원히 안식에 들어가 모든 것을 잊었기를. 삼오제까지 끝나면 문상 와 준 분들께 문자나 전화로 감사 인사를 해도 좋..

4. Mit Partnerin

여성 파트너와 함께

맥주-

#여성서사 #퀴어
여성 파트너와 함께 이성애 규범과 그 역할에 익숙해진 내가, 동성애를 하기 위한 일련의 역할들과 그 수행에 익숙해지기까지는 조금 시간이 걸렸다. 대부분의 시간에 나는 실용적- 불필요한 장식이 없고 기능에 충실한-인 옷을 입고 있기 때문에, 여가로 쓸 수 있는 시간에는 사회에서 ‘여성적’ 이라고 해석하는 복장을 하고 있기를 좋아한다. 하늘하늘하고, 레이스나 프릴이 달려 있고, 패턴이 화려한 옷들. 재미있는 것은 패턴..
더 보기

타래를 시작하세요

여자가 쓴다. 오직 여자만 쓴다. 오직 여성을 위한 글쓰기 플랫폼

타래 시작하기오늘 하루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