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나 여기!”
7월의 장마가 시작되었다. 귀하디 귀한 내 새끼 비에 젖을 세라, 앞다투어 교문 근처에 서 있는 사람들을 지나치는 소녀. 혹시나 우리 엄마 있을까 슬쩍 살펴보지만 오늘도 우리 엄마만 없다. 우중충한 하늘처럼 회색빛의 칙칙한 하굣길. 쏟아지는 폭우를 얇은 비닐우산으로 막아들었다. 빗방울 소리가 다른 이들의 소음을 삼킨다. 소녀는 슬프지 않았다. 어쩌면 외로웠던가. 30분 남짓의 거리 골목길을 부러 씩씩하게 걸었다. 웅덩이에서 발을 담가 첨벙첨벙. 집에 가는 길 들꽃 앞 진흙에서도 질척질척. 운동화가 젖어도 상관없다. 어리고 작은 여자아이는 우산에게 묵묵히 감싸안겼다. 우산의 존재는 비록 온기는 느끼지 못할지언정 아늑함을 느끼기에 소녀에게 더없이 충분했다. 이제 집에 가야지. 소녀의 작은 입술에서 나온 읊조림은 투명한 빗방울이 되어 번진다.

차가운 열쇠와 이어져 있는 빨간 실을 하얀 목에 걸고서 소녀는 아무도 없는 집으로 담담히 향한다. 민지는 집에 가면 엄마가 맞이해 준다는데, 아, 교문에서 맞이해 주려나, 따위의 생각과 동시에 제 부모님을 떠올리다 고개를 젓는다. 떠올려 보면 고작 비닐 우산일 뿐인 그것에 위로를 받았던가. 열쇠를 꽂아 현관문을 열기도 전에 회색의 커다란 무선 전화기의 벨이 울린다. 발신자 번호를 볼 수도 없는 전화기였지만 소녀는 알 수 있다. 일부러 수화기를 늦게 들었다. 일종의 어리광 정도라고 치자. 이 전화를 받지 않기까지 하면 엄마는 날 걱정해서 일하지도 못할 거야.
“여보세요….”
전화는 왜 늦게 받니, 집에는 잘 왔니, 배는 고프지 않니, 집에 창문은 제대로 닫혀 있니, 쏟아내는 나의 보호자에게 저는 괜찮다고 더욱 강조하여 안심시키는 소녀는 갓 여덟 살이었다.
유난히도 우산에 집념, 집착이 생겨 버린 나는, 현재까지도 찢어져 쓸데없는 우산들까지 우산꽂이에 가득하다. 비가 내리는 날이면 나의 어릴적의 우산들이 현관에서 꼭, 몇 초는 더 머무르게 만들고는 한다. 펼쳐보는 우산마다 고장나 있으면 온갖 짜증이 나서 바쁘다는 핑계로 현관에 던져 버리곤 귀가 후, 언제 그랬냐는 듯 우산꽂이에 넣어 둔다. 참 쓸모도 없지. 나의 외로움은 그렇게 여덟 살부터였을까. 비가 내릴 때부터 외로웠을까. 비 오는 게 두려웠던 것 같기도 하다.
지금에서야 나는 부모님을 이해한다. 하지만, 당시의 나는 맞벌이 부모의 첫째딸 이라는 이유로, 맏딸이라는 무조건적인 기대가 존재했기에 아무래도 괜찮아야 했다. 소녀에게는 두 살‘이나’ 어린 여동생이 있었으며, 막내딸로 자란 여동생의 성숙함 또한 소녀의 몫이었기에. 소녀에게 엄마는 세상에서 가장 바쁜 사람이기에. 언제나 어른스럽고 성숙하기만한 아이로 자라야만 한다.
어릴 적의 나는 떨어지는 빗방울 소리를 두려워했다.
모순적이게도, 빗방울 소리를 낳는 우산을 사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