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는 유튜브나 SNS등과 같은 매체로만 페미니즘을 배웠다. 남자 동기에게 “너는 여성인권신장에 대해 관심 있어? 그럼 너네는 왜 그런 주장을 하고 다니는 건지 나를 설득 좀 해봐.” 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화가 나는데 할 말이 없었다. 얕은 지식들은 내 생각을 바꾸는 데에만 조금 효과가 있을 뿐, 다른 사람에게 내가 페미니스트가 되려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래서 복학을 하자마자 ‘페미니즘 개론’을 수강했다. 교수님은 오티 때부터 나의 정곡을 찔렀다. “남자들이랑 싸울 때 반박하고 싶은데, 할 말이 없죠? 알긴 아는데, 이론이 없어서 그래요. 열심히 배워 봐요.” 다른 상황이었다면, 자존심 센 나로서는 ‘자기가 뭘 안다고’라며 내 현실을 외면하려고 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번에는 그럴 수 없었다. 정곡을 찔린 대로 부끄러웠고, 부끄러운 만큼 배워서 성장하고 싶었다.
하지만 내 스스로 성장하기란 하루아침에 되는 일이 아니었다. 아무 생각 없이 본 광고나 영화가 여성 혐오를 반영하는 내용이었다는 걸 깨달으면, 왜 나는 아직도 이런 걸 못 알아보지? 라며 자책을 했다. 수업을 들을 때 25년을 페미니스트로 싸워 오신 교수님도 놀라게 할 만큼 여성 인권에 깨어있는 학우를 보면 부럽고, 내 자신이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느껴졌다. 또한 코르셋을 조인 여자 연예인들이 여성들을 위해 기부를 했단 소식을 들으면, 그래도 같은 여자를 위해 좋은 일 했으니까 응원해야 할지, 너희가 입은 코르셋이 여성 인권 후퇴시킨다고 분노를 해야 할지 헷갈렸다. 페미니즘을 공부한다고 하면서, 나 또한 여전히 여성을 혐오하는 무리 속에 있는 건 아닐까 나를 돌아보고, 왜 여성들에게만 유독 가혹한 기준을 세우려 할까 반성하고 있었다. 그렇게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내 입장을 찾아가고 있을 즈음, 한 연예인의 사망 소식을 접했다. 교수님은 그 일이 있던 주에 추모의 의미로 검은 옷을 입고 오셨다. 우리에겐 “죽지 말지. 죽지 말아요, 여러분. 싸우셔야 해요.” 라고 하셨다. 그 인물을 응원하지도, 좋아하지도 않던 나였는데도, 안타깝고 슬픈 기분이 들었다. 왜 진작 함께하려 하지 않았지 라는 후회와, 페미니즘이 나 혼자만 나아간다고 될 일도 아니고, 나만 잘났다고 될 일도 아니구나, 깨달은 순간이었던 것 같기도 하다.
그 이후로 나는 나보다 앞선 사람들이 있다면 따라가고, 나의 뒤에 있는 사람들은 기다리자고 다짐했다. 페미니즘을 모른다고 해서 비난할 것도 아니고, 기다려주고 알려주고 같이 가면 되는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 여자애 다른 남자 동기랑 붙어 다니더라. 완전 여우같아.”라고 말하는 친구를 보면 나는 과연 언제까지 그들을 기다릴 수 있을까 의문을 갖게 된다. “쟤는 또 성형하고 나왔나봐. 얼굴이 왜 저래. 옷은 또 저게 뭐야.” 라고 여자연예인들의 능력이 아닌 외모만 평가하는 가족들을 보면 내가 서 있는 자리가 위태롭고 불안하게 느껴질 때도 많다. 사람들은 그런 나를 무조건 여자 편만 드는 사람으로 취급하고, 그 속에서 불편함과 답답함을 느끼는 내가 마치 혹 같다는 생각도 든다.
그리고 매주 여성들의 이야기로 포장한 나의 이야기를 쓰려고 노력하지만, 매 순간 쉽지 않다. 나는 이 글에 책임질 수 있을까, 이 문장은 내가 말한 이야기들에 반하는 건 아닐까 조심스러워지기 때문이다. 엄마는 내 글을 보면 우리 집 이야기를 쓴 것 같다며 불만을 토로하시기도 한다. 다른 사람들은 우리 가족을 화목하고, 부부 간에 취미 생활도 같이 즐기는 행복한 집안으로만 생각하는데, 내가 그 평판과 다른 현실을 써서 보여주는 것에 불만족스러운 듯하다. 어쩌면 수험생활 시절 고시원에서 겪었던 재밌는 이야기, 내 주위 친구들과 있었던 웃긴 이야기나 써보기를 원하실 지도 모른다. 무엇보다도 페미니즘 공부와 비혼 다짐은 접어두고, 아빠 정도 되는 남자 만나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실 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나는 페미니즘을 배우는 것, 내 이야기를 쓰는 것, 소설 속 친구들이 결국에는 편안한 세상에서 행복해지는 것, 그리고 지금 이 곳도 내 바람처럼 되기를 포기할 수가 없다. 나는 여전히 부족하고 흔들릴 때도 많지만, 분명히 나도 나와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을 통해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누군가가 시작하지 않았다면, 나 스스로도 깨어나지 않았다면 잔잔하게 흘러갔을 인생이다. 하루를 보내는 동안 미묘한 이질감을 깨닫기 시작할 때, 그리고 그 하루들이 쌓여 내 모든 것들이 익숙해지지 않았을 때, 내 인생은 불편함으로 가득 차기 시작했다. 그렇게 페미니즘은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가 되었다. 아마도 난 페미니즘을 만나기 전의 나로 돌아가는 길을 잃어버린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