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골공원에서 ‘죽여주는 여자’로 통하는 구)미숙, 현)소영 (윤여정)은 일명 ‘박카스 할머니 ’로 탑골공원에서 성판매를 하고 있다. 어느날은 ‘매독’에 걸려 산부인과에 들린다. 병원에서 한 필리핀 여성이 산부인과 남성 의사를 찾아와 ‘아버지로서 책임’을 지라고 하는 장면을 목격한다. 그러다, 회피하는 남성의 모습에 여성은 가위로 남성을 찌르게 된다.
함께 온 ‘코피노’인 ‘민호’는 오갈 데가 없어져 미숙이 민호를 데리고 가게 된다.
소영이 사는 집에는 다리가 불편한 도훈(윤계상), 트랜스젠더 티나(안아주)가 함께 산다. 민호가 들어오면서 ‘불완전한 완전한 가족’의 모습을 띈다.
여자 혼자 가면 무시한다 말이야.
민호의 엄마, 까밀라가 구치소에 들어갔다. 이주민센터에서 까밀라의 변호를 맡고 민호를 찾고 있었다. 소영은 민호와 함께 이주민센터에 가려고 한다. 그러나, 말도없이 민호를 데리고 간 행동때문에 두려워서 도훈에게 같이 가자고 부탁한다. 결국 도훈은 함께 갔고, 이주민센터 담당자는 소영에게 온갖 모진 소리를 퍼붓는다. 그러나, 도훈의 제지에 바로 말을 멈춘다.
사실, 소영은 과거 미군과 함께 잠시 동거를 했다. 그때 낳은 아이를 어쩔수없이 입양 보냈다. 가슴속에 ‘죄’를 안고 살아왔다. 그 아이가 생각난듯, 까밀라가 구치소에 가있는 동안 민호를 돌본다.
본 영화는 ‘성판매’에 대한 영화라, 메일 게이즈(Male gaze)를 피할 순 없다. 소영은 남성을 대상으로 ‘성판매’를 하고 있다. 소영은 ‘연애 할래요?’ 라는 말로 노년층 남성에게 말을 걸어, 성관계를 가진다.
그러나, 그들이 나이가 들수록 건강문제로 소영과 ‘연애’를 하지 못하고, 요양원에 있거나 세상을 떠난다. 그 이후, 소영을 ‘외로운 죽음 길’을 도와주는 여자로 ‘이용’한다. 이제 성관계를 못하니 죽음을 떠맡긴다. 영화는 소영의 관점을 보여주면서도 ‘외로운 남자들’에게 공감하여, 그들의 ‘편안한 죽음’을 돕는 여성의 역할을 자처한다.
저 사람도 무슨 사연이 있겠지. 아무도 진짜 속사정은 모르는 거거든.”
- 소영이 자신이 죽음을 도운 남성의 뉴스기사를 본 후 .
윤옥경, 서은경 (2014)의 연구에 따르면 여성범죄자들의 생애과정을 살펴보면 ‘구조적이거나 환경적인 요인’을 많이 받게 된다고 한다.
특히, 결혼, 이혼 등과 같은 상황에서 배우자와의 문제로 범죄를 시작하거나 중단한다고 한다. 그리고 여성살인범죄는 서로알고 있는 관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강은영⋅박형민, 2008: 김지영외 2010 : 윤옥경⋅서은경 2014).
본 영화에서 카밀라와 소영 모두 유대관계를 맺은 상대 남성에게 살인을 시도한다. 둘의 살인 동기는 물론 다르다. 카밀라는 무책임한 남성의 태도에 대한 분노로 충동적 범죄를 저질렀다. 소영은 ‘남성의 요청’에 따라 그들의 자살을 돕는다. 특히 소영은 ‘성판매’로서 남성에게 지배받는 관계를 경험하여, 기존 관계의 연장선으로 그들의 ‘요청’에 응하게 되었다. 한편으로 소영은 ‘그들의 속사정’에 대한 깊은 외로움과 고독함을 일부 인정하여 본인 행동을 합리화한다.
그리고, 남성들의 ‘책임전가’에 대한 행동과 소영의 ‘민호에 대한 책임’의 행동이 상반되어 비춰진다. 그리고 카밀라와 소영 모두 자신의 ‘사랑’을 민호를 통해 드러낸다. 둘은 자신의 사랑에 대한 책임감으로 ‘민호 양육방식’으로 표현한다. 카밀라는 사랑했던 ‘산부인과 의사’와 낳은 민호에 대해 ‘책임감’으로 친자소송을 진행한다. 소영 역시, 과거 자신이 입양보낸 아이에 대한 미안함으로 ‘당분간 혼자가 된’ 민호를 책임진다.
마지막으로 소영이 결국 ‘교도소’에 들어가 죽음을 맞이하게 되며, ‘무연고자’로 남는다. 외로웠던 소영의 인생에 매일하는 ‘연애’와 외롭다고 생각하는 이들을 보내주는 건, 소영 역시 외로움에 충분히 공감하고 삶이 불안정했기 때문일 것이다.
수많은 여성들이 가진 속사정이 남성의 권위적인 행동으로 관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주체성을 갖길 기도한다.
참고문헌
윤옥경, 서은경. (2014). 여성의 생애사건이 여성범죄에 미치는 영향: 질적연구자료를 바탕으로. 교정연구, 62, 5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