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 포레스트 5. 2월 셋째주: 딸의 다짐

생각하다

리얼 포레스트 5. 2월 셋째주: 딸의 다짐

[웹진 쪽] 산들

일러스트레이션: 킨지
엄마, 나는 앞으로 명절에 외가에 가지 않을 거야.

우리는 친가 식구들이 없다. 조부모께서는 슬하에 1남 1녀를 두셨는데, 곧 우리 아빠와 고모다. 할아버지는 30년 전에, 할머니는 재작년 여름에, 아빠는 작년 봄에 떠나셨고, 고모는 평생 아들만 챙기던 식구들에게 상처를 받아 연을 끊은 지 20년이 다 되어 간다. 반면에 외가는 딸 다섯, 아들 하나다. 외가 역시 그 잘난 아들 하나 얻자고 육남매를 낳으셨다. 이모들은 대부분 어린 나이에 결혼으로 출가를 이루고, 팔순이 된 외할머니는 어느덧 중년이 된 막내아들을 여전히 각별하게 생각하신다. 명절이 되면 육 남매와 다섯 이모부, 그리고 12명의 사촌이 모이는데 그야말로 명절 분위기가 난다.

명절 때마다 서울 외가에 가면 무언가 늘 불편했다. 일 년에 많이 가야 두 번 갈까 말까 한 곳이니 그저 낯섦에서 온 불편함이라 생각해왔는데, 비로소 이번 설을 지내며 그 불편함이 낯섦에서 기인한 것이 아님을 명확히 알게 되었다.

평범함을 빙자한

일러스트 킨지

    나름 평범한 집안에서 자랐다고 생각했지만, 이 ‘평범함’이 얼마나 ‘차별적’이고 ‘폭력적’이었는지. -나는 십 년 가까이 세 딸 중 막내로 자라면서 식구들의 관심과 보살핌을 충분히 받았다. 그러다 9살 겨울이 되던 해에 남동생을 봤다. 그 때 마을 사람들에게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 “셋째 딸이 복이 많아서 남동생을 봤다.” 였다. ‘그럼 여동생이 있는 첫째 언니, 둘째 언니는 복이 없는 건가? 나도 남동생을 못 봤으면 복이 없는 건가? 복은 동생이 남동생이어야만 주어지는 건가?’ 어린 나에게도 그 말은 상당히 거북하게 느껴졌다. 태어난 아기가 남성인 것에 대해 온 동네 사람들이 기뻐해 주고 있지만, 그 축하 인사는 마치 여동생이 태어나기라도 했으면 나부터 시작해 우리 가족 모두 복이 없다고 손가락질 받은 것만 같은 기분을 느끼게 했다. 동생이 태어나기 전에도 우리 가족은 나름 행복했는데 사람들은 남자아이가 태어난 이제야 비로소 우리 부모님이 제 할 역할을 다 한 것처럼, 우리 가족이 이제야 ‘정상적’인 것처럼 말했다.-

평범함을 빙자한 차별과 폭력은 이번 설에 외가의 저녁 식탁에서도 적나라하게 느낄 수 있었다. 식사를 위해 거실에는 큰 교자상과 작은 교자상 두 개가 펼쳐졌다. 의아한 것은 큰 교자상에도, 작은 교자상에도 수저는 다섯 개씩 놓인다는 것이다. 사람보다 수저가 적은 것이야 먼저 먹는 사람들이 서둘러 먹고 다음 사람들이 먹으면 되는 문제다. 하지만 두 배 가까이 상 크기가 차이 나는데 놓이는 수저의 개수가 같다는 것은 아무래도 이상하다. 더 이상한 것은 큰 교자상에는 외할아버지와 이모부들, (심지어) 남성 사촌들이 앉고, 작은 상에는 이모들이나 여성 사촌들이 앉는다는 것이다. 게다가 큰 상에는 김치와 갈비찜, 전 모두 두 접시씩 올라가고 추가로 편육과 여러 안줏거리가 차려지는데 비해, 작은 상에는 김치와 전, 갈비찜 모두 한 접시씩만 나온다. 작은 상에 촘촘하게 끼어앉은 사람들의 모습은 가뜩이나 초라한 상 크기와 찬들의 모양을 더없이 초라하게 한다.

안 가

일러스트 킨지

    여기서 끝이 아니다. 가장 먼저 식사를 시작한 남자들은 서둘러 식사하기는커녕, 떡국을 먹은 그 자리에서 술상을 받는다. 진짜로 받는다! 이모들이 술상을 차리는 내내 이모부들은 앉아있는다. 여기서 운전의 문제로, 혹은 건강의 문제, 취향의 문제로 술을 못 하는 남성은 그 교자상으로 인해 형성된 남성 연대에서 자동으로 제외된다. 그들의 대화와 웃음에 쉽사리 낄 수 없게 된다. 음주를 할 수 있는 소수의 남성은 거실 한 가운데, 가장 넓은 자리를 차지하여 맘껏 먹고 마신다. 심지어 몇몇 여성은 옆에 앉아 지켜보며 술상을 봐주기까지 한다. 그리고 대다수 여성은 한 방에 모여 앉아 서로 안마를 하거나, 쪽잠을 자며 피로를 푼다.

명절 스트레스는 비단 ‘노동의 강도’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다. 해묵었다고 생각하고 싶으나 여전히 견고하게 존재하는 가부장 중심문화, 남성 중심문화에서 비롯된다. 설거지하려는 엄마를 밀치고 내가 하기를 자처하면서도, “엄마, 내가 설거지하는 이유는 여성이기 때문도, 엄마의 딸이기 때문도 아니야. 그냥 엄마의 자식이기 때문이야. 자식.”이라고 선언한다. 그러면서 드는 의문은 ‘내가 아들이었어도 설거지를 했을까?’다. 설거지를 해도/안 해도 불편한 것은 내가 딸이기 때문이라는 것을, 구석에서 아무 생각 없이 쳐놀고 있는 남동생의 모습을 통해 인정할 수밖에 없다. 딸인 나는 외가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나가서까지도 내내 좌불안석인 반면, 동생은 내내 아무런 갈등과 고민 없이 명절을 즐길 수 있으니까.

그래서 나는 다짐했다. 다음 명절부터는 내 정신건강을 위해 외가에 가지 않겠다고.

[웹진 쪽] 산들님의 글은 어땠나요?
1점2점3점4점5점
SERIES

리얼 포레스트

콘텐츠 더 보기

더 보기

타래를 시작하세요

여자가 쓴다. 오직 여자만 쓴다. 오직 여성을 위한 글쓰기 플랫폼

타래 시작하기오늘 하루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