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을 유지하는 것만큼 쉬워보이면서도 어려운 것이 없다.
나는 규칙을 잘 따르는 편이라 스케줄이나 계획을 세우면 그만큼 생각할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편하게 생활하는데 무척 도움이 된다.
아래는 나의 행동양식이다. 건강해 보이거나 괜찮아 보이는 누군가의 행동양식을 따라하는 걸로 나는 시작했다.

행동양식
1. 자정 전에 무조건 눕는다.
- 불면증에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 첫 4주는 도저히 잠들 수 없어서 미치도록 고통스러웠지만. 아무리 늦어도 새벽 2시에는 누워야 일상을 유지할 수 있다.
2. 하루에 한 번은 나간다. (누구를 만나지 않더라도 가벼운 산책, 마트에서 과자를 사러라도. 하지만 날씨가 안 좋으면 패스 가능)
나는 내 방,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걸 무척이나 좋아한다. 나가지 않고 재미나게 시간을 보내는데 꽤나 자신있다. 딱히 나가고 싶지 않더라도, 어렵사리 몸을 이끌고 문 밖에 잠시 서 있다가 들어와도 약간은 환기시킨 기분이라 좋다. 겸사겸사 달도 보고. 원치 않지만 필요한 하루의 일부라고 할까. 특히나 코로나 때문에 원치 않는 칩거 생활을 하게 되면서 더욱 확실해졌다.
3. 오후 6시 ~ 7시 이후엔 먹지 않는다. (다른 사람들과 먹지 않는 이상.)
- 다이어트가 아니라 먹는 시간을 정해두려 함이다. 참고로 먹는 시간이 정해져 있으면 가짜 배고픔을 느끼기 어렵다.
4. 일주일 중 두끼는 샐러드를 먹는다. (주기적인 야채 섭취)
- 주기적으로 야채를 섭취하는데 꽤나 도움이 된다. 더군다나 일주일에 두 끼라 부담스럽지도 않고, 맛없는 풀떼기만 먹는 것도 아니라 상당히 샐러드 먹는 걸 즐긴다.
5. 일주일 중 3회는 운동을 한다. (30분 이상으로)
- [일주일 중 3회는 운동을 한다.] 보다는, [일주일 중 4일 이상 운동을 쉬지 않는다.]에 더 가깝긴 하다. 생리통도 심한 편이고, 한 때는 건강한 운동이 아니라 몸이 부서져가는 운동을 했다. 덕분에 휴식도 필요한 부분 중 하나라는 걸 꽤나 힘든 방식으로 배웠지만.
6. 이틀에 한 번은 샤워를 한다.
- 우울은 수용성이라는 말이 있다. 정말로 씻고나면 기분이 씻기 전보다 나아져 있고, 생각도 정리가 된 기분이다. 실제로 씻지 않는 것만으로도 사람의 감정에 영향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
7. 일주일에 한 번은 청소기를 돌린다.
- 매일 한 가지라도 정리를 하려 한다. 때문에 크게 청소 할 필요는 없지만, 일 주일 중 하루는 방청소 날로 정해두고 잘 정돈된 방을 보고 있으면 절로 뿌듯해진다.
8. 한 달에 한 번 이불 빨래를 한다.
- 한 달 반에서 두 달에 한 번 이불 빨래를 하는 것 같다.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는데도 좋고, 잘 마른 이불에 푹 파묻히는 느낌도 매우 좋아한다.
코로나 때문에 정말 어수선한 상반기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