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코르셋은 끝이 아니다 #1 영상

핀치 타래페미니즘탈코르셋일기

탈코르셋은 끝이 아니다 #1 영상

탈코르셋 후 영상에 등장한 나를 마주하다

깨비짱나

🎬

솔직히 나는 내가 코르셋으로부터 좀 자유로워진 편이라고 생각했다. 

다른 사람이 먼저 지적하지 않는 한, 내 얼굴과 몸매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지 꽤 됐다. 다이어트를 하지 않은지(다이어트 선언을 하고 음식을 적게 먹거나, 살빼는 약을 먹거나, 간헐적 단식을 하지 않은지)도 3년 쯤 되어가고, 투블럭을 한 후 일상에서 화장을 하지 않은 것도 2년이 넘었다.

🎬

그런데도 제 3자의 눈으로 보이는 나를 마주했을 때, 그리고 그 상태가 내 생각과 다를 때 예상치 못한 혼란을 겪었다. 유튜브에 올라가는 영상에 등장하기로 한 게 시작이었다. 

🎬

영상에 등장하기로 마음먹는 데에도 물론 용기가 필요했지만, 그래도 결심한 후에 촬영하기 전까지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그런데, 촬영 후에 영상 속 내 모습을 확인하자 순식간에 자기혐오가 물밀듯 밀려왔다. 갑자기 내 외모가 남들에게 어떻게 보이는지가 신경쓰이기 시작하고, 그게 나에 대한 평가나 나의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게 걱정이 되었다.  무엇보다 남들에게 보이는 내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다 바보같은 생각인 걸 머리로는 알면서도, 내 감정은 따라와주지 않았다.

🎬

탈코르셋을 실천하기 이전의 나는 예쁨에 대한 욕망만큼 마르고 싶은 욕망이 컸다. 다이어트가 코르셋임을 인지하기 전에 나에게 마른 것이 곧 예쁜 것이었다.

어릴 때부터 통통한 볼살과 튼실한 허벅지, 볼록한 뱃살을 가진 나는 오랫동안 마르고 싶어서 노력했다. 그리고 그 마음을 버리기까지도 또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런데도 다 버려내지 못한 마음이 있음을 깨달았다. 마르지 않은 내 모습을 보는 건 아직도 나에게 상처가 되는데, 그게 상처가 된다는 게 답답하다.  오랜시간 왜 너는 충분히 날씬하지 못하냐고 혼났던 시간들 때문일까, 사회적인 여성상이 날씬한 여성이라서일까, 미디어 속 멋진 여자들도 다 날씬해서일까, 이미 답을 알고있다고 생각했던 질문을 되풀이해서 생각하고 또 생각했다.

🎬

부은 것처럼 동그란 얼굴과 작고 얇은 입술, 축 쳐진 입꼬리와 팔자주름, 부은듯한 쌍커플, 그리고 겹쳐진 두개의 턱과 눈밑의 다크써클...

 한편으로는 이런 내 모습이기에 더 많이 보여지고 더 자주 전시되어서 다른 여성들의 외모코르셋을 부수는 데 기여하고, 사회적 여성상을 부수는 데 기여하고 싶은 마음이 들다가도, 내 맘속 깊숙한 곳에 뿌리깊게 박혀있는 외모지상주의적인 기울어진 생각이 나 자신을 혐오하게 만든다.

🎬

떠올려보면, 탈코르셋을 하기 전에는 이런 자기혐오의 순간을 더 자주 많이 마주했다. '나 왜 이렇게 못생겼지? 왜 이렇게 뚱뚱하지?' 하는 생각을 하루에도 몇번씩 되풀이했다. 그렇게 내 외모에 불만이 쌓이면, 다이어트를 다시 다짐했고 화장품을 새로 구매하거나 피부과에 갔으며 새로운 옷을 샀다. 

그런데 이제는 그때로 되돌아갈 수 없다. 

그냥 이런 내 모습을 마주하고 인정하는 방법밖에 없다. 이미 마주하고 인정했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음을 깨닫는 과정은 생각보다 괴로웠다. 그날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고 자꾸 목이 탔다. 속이 안좋고 컨디션도 너무 나빠졌다. 자꾸 토할 것 같았다. 이제 다시는 겪지 않을 거라 생각했던 식이장애의 증상들이 떠오르면서 소름이 돋았다. 

🎬

내 모습이 싫어지는 동시에, 이걸 싫어하는 내가 또 너무 싫었다. 

그게 더 괴로웠는지도 모른다. 단단히 얽혀버린 자기혐오 같다. 아직 충분히 강하지 못한 내가 너무 바보 같았고, 이 글을 공개할지 말지를 오래 고민했다. 그리고 이런 고민을 주위 페미니스트들과 쉽게 나눌 수 없고 조심스러웠다. 내 이런 생각이 동료의 사기를 저하하게 될까봐, 탈코를 조롱하는 이들의 목소리에 0.1g이라도 무게를 실어주게 될까봐, 그리고 너무 부끄러워서...

🎬

그렇지만, 너무 답답해서 쓴다. 탈코르셋이 끝이 아니라는 말을 쓰기 위해 쓴다.  탈코르셋을 한 사람들도 이렇게 아직도 몸부림치면서 탈코르셋을 유지하고 있다고 기록하고 싶어 쓴다. 이런 내 고통을 이겨내고 나면 더 단단한 내가 되어있길 바라며 쓴다.


SERIES

탈코르셋은 끝이 아니다

더 많은 타래 만나기

말하지도 적지도 못한 순간들 -12

환자가 떠난 후 남은 딸이 할 일

beforeLafter

#죽음 #장례
끝났다. 사흘 간의 지옥같고 전쟁같고 실눈조차 뜰 수 없는 컴컴한 폭풍우 속에서 혼자 소리를 지르는 것 같았던 시간이 끝났다. 끝났다는 것이 식이 끝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이 더 절망스럽다. 불과 사흘 전만 해도 물리적으로 사회적으로 엄연히 존재했던, 60여년을 살았던 한 '사람'을 인생을 제대로 정리할 시간조차 갖지 못한 채 후루룩 종이 한 장으로 사망을 확인받고, 고인이 된 고인을 만 이틀만에 정리해 사람..

병원이 다녀왔다

..

낙타

정신병원과 한의원에 다녀왔다 이번엔 둘다 끝까지 치료하고 싶다.....

어머니는 나를 엄마,라고 불렀다

'딸'이 되고싶은 딸의 이야기

설화

#여성서사
"엄마~" 어렸을 때부터 생각했다. 내가 엄마같다고. 하지만 이렇게 엄마의 입에서 직접적으로 불려지니 더욱 비참하고 씁쓸했다. 딸로서 행동할 수 있는 자그마한 가능성마저 먼지가 되어서 저 한마디에 그러모아놓은 것들이 모두 사라졌다. 이제껏 자라오면서 의지한 적이 없었다. 중학교 1학년 때였나. 학교에서 중국으로 일주일 정도 여행 겸 학교체험을 가는데, 배를 타기 전 엄마와의 전화통화에서 "가스불 잘 잠그고 문 단속 잘하..

오늘도 결국 살아냈다 1

매일매일 사라지고 싶은 사람의 기록

차오름

#심리 #우울
하필 이 시기에 고3으로 태어난 나는 , 우울증과 공황발작으로 많이 불안해진 나는, 대견하게도 오늘 하루도 잘 버텨냈다. 우울증과 공황발작이 시작된 건 중3. 하지만 부모는 어떤 말을 해도 정신과는 데려가주지 않는다. 이것이 내가 20살이 되고 알바를 하면 첫 번째로 갈 장소를 정신과로 정한 이유이다. 부디 그때가 되면 우울증이 사라지지 않을까라는 말도 안 되는 기대를 가지면서. 부모는 우울증은 내가 의지를 가지고 긍정적으로..

세 사람

세 사람

이운

#치매 #여성서사
1 요즘 들어 건망증이 심해졌습니다. 안경을 쓰고서 안경을 찾고 지갑은 어느 가방에 둔 건지 매번 모든 가방을 뒤져봐야 합니다. 친구들은 우리 나이 대라면 보통 일어나는 일이라며 걱정 말라하지만 언젠가 나에게 소중한 사람들이 생겼을 때 그들까지도 잊게 되면 어떡하지 라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하루는 수영을 다녀오는데 그날따라 비도 오고 몸도 따라주질 않아서 바지가 젖을 것은 생각도 안하고 무작정 길가에 털썩 주저앉..

[제목없음] 일곱 번째

누군가를 만난다는건.

제목없음

#여성서사
누군가를 만난다는건 참으로 어렵다. 나같은 경우에는 끊임없이 되물어봤다. 그리고 의심했다. '저 사람은 만나도 괜찮은걸까?' '내가 착각하고 있는건 아닐까?' 처음에는 설레기도 하고 잘 맞는 사람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안한 마음은 사라지지 않는다. 과연 내가 누군가를 만나도 괜찮은걸까? 순간의 감정으로 선택한 것은 아닐까? 꼬리에 꼬리를 물다가 결국에는 좋으니까로 결론이 난다. 좋은걸 어떡하나? 만나야..
더 보기

타래를 시작하세요

여자가 쓴다. 오직 여자만 쓴다. 오직 여성을 위한 글쓰기 플랫폼

타래 시작하기오늘 하루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