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지나면 특강함하께용!?(*월문학회 고문) '
며칠 전 페이스북을 통하여 대구예술계 내 성폭력 미투 가해자로 지목된 한 미술작가 J가 쓴 댓글들을 보았습니다. 저 위의 댓글은 그 중 하나입니다(심지어 게시물의 내용은 청소년에 대한 거여서 청소년 대상으로 성추행 가해자가 특강을 한다고? 하며 정말 화가 치밀어 올랐네요). 그는 강간 미수에 가까운 성추행을 저질러 유죄 처벌을 받았는데, 피해자에게 사과도 하지 않았고 최소 1년은 활동을 자제하며 반성하겠다는 약속도 지키지 않았습니다. 피해자는 그를 비호하는 지역 예술인들의 말에 많이 힘들어했지요. J 외에도 대나무숲을 통해 은퇴한 계명대 미대 교수이자 전국적으로 유명한 초상화가, 설치미술작가, 연구소 대표 등 대구 내 미술 분야 안에서 이름만 대면 아는 원로 미술인들이 가해자로 지목되었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무탈합니다.
미투 보도 이후 어떻게 해결되었는지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을 뿐더러 대구시에서도 예술계 내 성폭력 실태 전수조사를 한다거나 공모, 사업 진행 시 제한을 하겠다는 식의 재발방지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좋은 일이 있으면 뭉치고 나쁜 일은 개인주의, 예술정신을 들먹이며 기가 막히게 모른 척, 괜찮은 척하는 주변인 덕에 가해자들은 정말 자신이 괜찮다고 생각하나 봅니다. 공식적인 조사와 통계가 없으니 아무 일 없는 것처럼 보이고 예술행사들은 이전처럼 잘 굴러가니, 여기는 평온하고 무탈한 겁니다.
2016년 하반기 예술계 내 성폭력 고발이 한국예술계에 물결을 일으키기 시작한 이후 고루한 관습 철폐와 반성폭력 기조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긴 했으나 이처럼 실제 현장은 다릅니다.
개인의 잘못과 예술은 따로 보아달라.
별 거 아닌 것 가지고 유난 떤다.
넘어간 사람도 잘못이네.
공론화되면 모두의 명예가 훼손되니 조용히 해달라, 글을 내려라, 그렇지 않으면 고소하겠다.
너무 많이 들어서 지겹고 지겹고 또 지겨운 말들... 저 말들을 등에 업고 가해자로 지목된 중견 작가들은 사과문을 SNS에 올렸다가도 슬그머니 지우고 자신의 활동을 홍보하더군요. 그럼 비교적 젊은 예술인들의 의식은 좀 괜찮은 편일까요?
재작년 저는 지역 성평등 포럼에서 출신 예술대학을 포함한 다른 학교 및 분야의 교수들이 저지른 성차별적 언행을 지적하는 발표를 했다가 대학원생들과 교수에게서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대학교 법무팀과 의논해서 고소하겠다, 대학원 졸업해서 작가로 활동할 사람들에게도 명예훼손이다, 라는 내용. 자본, 계급, 일반 사회와 마찬가지로 대학교라는, 목적이 명확한 단체-교육 시스템 또한 개인을 책임지지 않으면서도 '지켜야 할 명예'가 등장하는 순간 하나의 이름으로 뭉치는 것이 아주 능숙하더군요. 하물며 한 개념으로 규정되지 않고 느슨한 연대, 개인주의와 개성을 강조하는 예술계 전체는 어떻겠습니까.
예술계 내 행동강령
(부산문화예술계반성폭력연대, 여성예술인연대, 페미플로어 기획)
혹자는 진보적이고 자유로운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곳이니까 오히려 예술계에서 더욱 잘 저항할 수 있지 않냐고 묻습니다. 저는 당연히 그렇다고 대답합니다. 인간이 자신의 상상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곳, 누구도 뚫지 못한 오래된 관습의 방패에 구멍을 낼 수 있는 무기를 가진 곳이 바로 예술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말 딱 그 정도만큼 비윤리적 행위를 예방, 처벌, 감시하는 명확한 시스템이 부족하기에 다수의 합의된 침묵으로 너무나 쉽게 피해자의 말을 공허하게 만듭니다.
모든 성폭력 사건의 해결과 연대의 핵심이 늘 그렇듯, 예술계 내에서도 피해자를 지우지 않기 위한 방법은 '촘촘한 감시망'입니다. 윤리가 부재한 개인과 자본화된 기관이 뭉쳐 만들어내는 가해 행위를 가장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있는 그물이죠. 이를 알고 있는 페미니스트 예술인들은 미투 운동 이후 직접 나서서 성평등 교육, 성폭력 가해자 처벌 등의 내용을 제도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반성폭력 워크숍, 전시와 공연, 글쓰기와 영상 제작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성평등 매뉴얼의 경우 2019년 하반기에 부산문화예술계반성폭력연대, 여성예술인연대, 페미플로어가 모여 성평등한 예술현장, 성폭력 예방을 위한 <예술계 내 행동강령>을 기획했고, 대구은 문화도시대구 사업의 일환으로 예술인들이 모여 2019년 12월, 예술계 내 성평등 매뉴얼 워크숍을 가졌습니다.
기성 예술인들이 주도하고 있는 심사, 기관, 기획, 제도, 그리고 예술현장은 이러한 변화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좁은 관계망을 핑계로 유지해 왔던 자신들의 예술관이 이제는 새로운 시대의 가치관과 달라졌다는 것을 깨달았으면 하네요. 일례로 대구의 대표적인 성매매/성착취 공간이었던 자갈마당이 철거되기 전 운영됐던 2018년 자갈마당 아트스페이스(대구 중구 도심재생문화재단 운영)의 특강에 미술평론가 반이정을 초대하는 일이 있었는데, 당시의 예술계 내 분위기며 자갈마당이라는 공간의 의미와 얼마나 반하는 게으른 기획이었던가요. 부끄럽고 참담한 일입니다.
동시대성과 인간, 아름다움을 이야기하고 있으나 정작 타인의 고통에 무감각한 '그들'의 예술은 이제 빛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