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를 그만두고 다시 공부를 할 일이 생겼고, 잊고 있던 망할 놈의 불안증세가 또 드러나기 시작했다. 공부를 놓은지가 너무 오래라서 내가 공부를 해야하면 불안해서 시작을 못 한다는 것을 까먹었던 것이다(!)
내 불안은 한정된 조건에서 나타났는데, 첫째, 이과 공부, 둘째, 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주제일때 나타났다. 예를 들어, 이과 공부가 아닌 영어공부를 할 때는 아무 증상도 없다. 허리 디스크 때문에 비록 누워서 공부를 할지라도 몸이 아파서 그렇지 멘탈은 정말 탄탄했다. 고등학교 때도 영어/국어 쪽은 성적이 잘 나와서 그런 것 같다. 또, 이과 공부라도 나름대로 자신이 있는 생물학을 공부할 때는 불안증세가 없다. 반면에 이과 공부가 아니라도 내가 느끼기에 어려워 보이는 과목(ex. 경제학, 회계원리)을 공부할 때는 불안해서 집중을 잘 못했다.
아무튼 다시 공부를 시작하게 되면서 증세가 또 나타나서 2-3시간동안 또 공부를 시작을 못 하고 무서워서 떨고 있는 나를 발견했다. 그러다가 '아 이건 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구나'라고 느끼고 지인에게 추천받은 상담기관에 등록을 했다.
2014년 첫 상담에 이후 6년만의 상담이었다. 2020년, 다시 상담을 시작하기 전 또다시 '나 너무 멀쩡한데? 난 우울하지도 않은데? 내가 비싼 돈을 들여 상담을 받는게 맞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이 의문은 상담기관 문을 열고 대기할 때도 계속 들었다. 하지만 첫 상담 이후 2014년처럼 또 펑펑 울고 나오면서 가길 잘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같이 '상담을 가야할까 말아야할까' 고민하는 사람을 위해 이 글을 적는다. 심리상담이든 정신과든 본인이 스스로 해결이 안 되는 문제라면 전문가를 찾아가는 게 맞다. 만약 망설이는 사람이 있다면 꾹꾹 묵혀두지 말고 하루 빨리 전문가에게 찾아가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글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