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 Feminist Scientists 8. 무지무지 다채로운 생물들의 섹스 이야기

알다과학섹스

Mad Feminist Scientists 8. 무지무지 다채로운 생물들의 섹스 이야기

하미나

일러스트레이션: 이민

10억 년 전, 생물은 하나의 거래를 했다. 그 거래란 개체의 불사성(不死性)을 잃는 대신, 성의 기쁨을 얻은 것이다. 죽음과 성, 우리는 죽음 없이 성을 얻을 수 없다. 자연은 생물에게 무척이나 가혹한 거래를 강요한 셈이다.

- 앤 드루얀·칼 세이건, 『잊혀진 조상의 그림자』

내 친구 예구리는 무성애자다. 에이로맨틱, 에이섹슈얼로 어떤 성적 지향을 가진 사람에게도 낭만적으로 또 성적으로 끌림을 느끼지 않는다. 예구리는 유성애에는 늘상 유난이 허락되며, 뭐든 기껍고 당연하게 여겨진다고 말했다. 듣고 보니 정말 맞았다. 에로스는 인간관계의 가장 소중하고 위대한 것으로 취급되곤 했다. 사람들은 상대에게 연애 중인지 묻기를 꺼리지 않고, 연애 중이 아니라면 그것이 안타깝거나 곧 해소되어야 할 상황으로 보았다.

예구리가 종종 자기의 이야기를 해준 덕에 나는 이 사회가 (예구리 말마따나) 얼마나 유성애대환장파티인지를 깨달았다. 주위를 돌아보니 온통 사랑이야기였다. 소설을 보아도 여행을 가도 노래를 들어도 말이다.

동식물을 볼 때도 그러했다. 수컷 공작은 화려한 깃털을 펼쳐 보이며 암컷을 흥분시키고, 고래는 깊은 바다속을 누비며 수백,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닿도록 울음소리를 낸다. 새는 지저귀고 반딧불이는 배에서 빛내고 꽃들은 강렬한 향기와 자외선을 내뿜는다. 이쯤 되니 온 지구가 성애에 미쳐있는 것 같다. 교미 끝에 암컷에 잡아먹히는 수컷 사마귀처럼 때로는 목숨을 내걸 정도로 말이다.

생물의 역사에서
성이 꼭 필요했을까?

생물학적으로 볼 때 성(性, sex)이란 번식할 때 유전자를 섞는다는 뜻이다. 무성생식은 단 하나밖에 없는 부모의 복사판으로 모든 세대는 이전 세대를 계속 반복한다(드물게 돌연변이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그렇다). 한편 유성생식은 두 부모에게서 받은 유전자를 섞어서 자손을 만든다. 이를테면 수컷이 가진 카드 패와 암컷이 가진 카드 패를 섞어 셔플링한 뒤에 새로운 조합의 카드 패를 내놓는 식이다.

무성생식하는 생물이 자신의 클론을 계속 만든다는 점에서 불사의 존재라면, 유성생식하는 동물은 다음 세대를 위해 자신의 유전자를 포기하고 상대방의 것과 뒤섞는다는 점에서 죽어야만 하는 존재다. 앞서 인용한 글의 ‘가혹한 거래’란 바로 이러한 성과 죽음의 교환이다.

그러나 도대체 왜 이런 짓을 해야 할까? 사실 지구의 생물은 그 역사의 절반 이상은 성 없이도 훌륭하게 지내왔다. 실제로 성이 생식을 위해 꼭 좋은 수단이라고 말할 수는 없는데 성을 가지려면 그 대가를 치러야 하기 때문이다.

첫째로 성은 성공적인 유전자 조합을 만들자마자 해체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둘째로 짝짓기에는 시간과 에너지가 든다. 예를 들어, 공작새의 깃털은 아름답긴 하지만 날기에 불편하고 이는 수컷 공작새의 생존을 위협한다. 셋째로 성병의 위험이 있다. 넷째로 이론 유전학자 메이너드 스미스가 지적하는 ‘두 배의 손실(twofold cost of sex)’이 있다. 유성생식은 두 개의 세포가 하나의 세포를 만들므로 무성생식보다 자손이 번성하는 속도가 훨씬 더디다. 무성생식을 통해 암컷이 자가 복제하면 50세대 만에 100만 개의 자손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성은 생물의 세계에서 꽤 보편적이다. 대부분 진핵세포 생물은 유성생식을 한다. 도대체 왜? 생물학자가 내놓은 답은 대체로 유전적 다양성이다. 유전자를 계속해서 섞어 다양한 조합의 유전자를 만들면 만들수록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잘 적응하여 빠르게 진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무성생식 집단은 돌연변이가 나타나도 이것을 제거하지 못하고 계속 축적되어 개체의 삶을 위협할 수 있지만,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은 수시로 유전자의 결함을 제거할 수 있다. 무성생식을 하여 빠르게 번성하는 기생충 또는 병원균에 맞서기 위해 숙주 생물이 유성생식을 택했다는 가설도 있다.

그러나 여전히 성의 기원과 진화는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앞서 열거한 성의 이득은 유성생식이 유지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는 있겠지만, 성의 시작점과는 전혀 무관할 수도 있다.

일러스트 이민

우리가 규정한
정상성에서 벗어난
생물의 성

인간은 자신들이 규정한 관습대로 자연을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남성과 여성을 소위 과학적으로 설명한다고 진화론을 꺼내 들 때가 특히 그렇다. 남성과 여성의 분명한 이분법적 구분이 그렇고, 이들에게 부여하는 성 역할을 설명할 때도 그렇다. 남성은 모험적이고 바람기가 있으며 여성은 소극적이고 짝을 선택할 때 더 조심스럽다는 설명에서처럼 말이다. 그러나 자연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사회가 정한 관습과 직관을 배신하는 예는 찾아보면 얼마든지 있다.

생물학적으로 수컷과 암컷을 구분하는 기준은 생식 세포의 크기다. 수컷은 크기가 작은 생식 세포를 만드는 존재를 의미하고, 암컷은 큰 생식 세포를 만드는 존재를 의미한다. 허나 수컷에서 암컷으로, 암컷에서 수컷으로의 성전환은 자연에서 자주 일어난다.

꽃을 피우는 식물의 절대다수는 한 꽃에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진다. 그러나 같은 꽃의 암술과 수술 간에는 서로 꽃가루를 주고받지 않는다. 대부분 꽃에서는 수술이 먼저 발달하고 벌이나 나비가 꽃가루를 실어 나르고 나면 그제야 암술이 발달해 다른 꽃의 꽃가루를 받는다. 어떤 개체는 아침에는 수컷으로 꽃가루를 만들고 저녁이 되면 성을 바꾼다. 수컷에서 암컷으로 점차 변화하므로 그 과정에서 거의 무한대의 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산호초 지역에 사는 무지개양놀래기(bluehead wrasse)는 떼를 이루고 사는데 대부분 암컷으로 태어났다가 몸집이 커지면 그중 한 마리 또는 일부가 수컷으로 빠르게 변한다. 외형은 물론 체내 생식기와 행동도 변한다. ‘니모를 찾아서’의 니모로 알려진 광대물고기도 자라며 성이 바뀌는 대표적인 종이다.

또 도마뱀 중 많은 종은 암컷만 있고 무성생식을 하기 때문에 정자에 의한 수정이 필요하지 않다. 전부 암컷만 있는 물고기도 존재한다. 암컷만 존재하는 종은 주요 척추동물 집단의 대부분에서 찾아진다. 파충류의 일부는 알이 자랄 때의 온도로 성이 결정된다. 이에 암컷은 그늘진 자리에 낳을지 햇볕이 드는 자리에 낳을지를 골라 새끼의 성비를 조절할 수 있다.

갈매기 사회에 레즈비언 부부가 많다는 사실은 1970년대부터 보고되어왔다. 레즈비언 갈매기 부부는 함께 둥지를 틀고 알을 낳고 새끼도 키운다. 짝짓기는 주변의 수컷과 하고 돌아와 암컷과 살림을 차리기 때문에 레즈비언 갈매기 부부의 둥지에는 종종 헤테로 갈매기 부부의 둥지에 있는 알보다 두 배의 알이 있다.

해마는 수컷이 알을 낳는다. 수컷 해마의 배에 있는 주머니에 암컷 해마가 난자를 넣어두면 그곳에서 난자가 수정되어 배아가 된다. 수컷이 임신하는 셈이다. 수컷은 주머니 속 배아에 산소를 제공하고 염분 농도를 적당히 유지해가며 기르고 뿜어내듯 출산한다.

잘 알려져 있듯 하이에나는 모계중심사회를 이루며 산다. 그중 점박이하이에나 암컷은 겉모습으로 볼 때 수컷의 음경과 거의 똑같은 신체기관을 가진다. 클리토리스가 매우 크게 발달한 것인데 오줌이 클리토리스로 나오기 때문에 클리토리스가 곧 음경이라고 할 수 있다. 암컷 음경에는 해면체도 있어서 발기도 가능하다. 암컷 점박이하이에나는 이 기관을 통해 짝짓기도 하고 새끼도 낳는다.

성별이분법, 헤테로중심주의, 유성애중심주의에서 벗어난다면 우리는 어쩌면 훨씬 더 자연을 잘 알게 되지 않을까. 이들을 발견하지 못하게 눈을 가리는 건 사회의 편견과 고정관념일지 모른다. 생물은 이렇게도 무지무지 다채로우니까.

참고문헌

닉 레인(2011), 김정은 옮김, 『생명의 도약』, 글항아리.

조안 러프가든(2010), 노태복 옮김, 『진화의 무지개: 자연과 인간의 다양성, 젠더와 섹슈얼리티』, 뿌리와이파리.

 

하미나님의 글은 어땠나요?
1점2점3점4점5점
SERIES

Mad (Feminist) Scientists

과학에 관한 다른 콘텐츠

섹스에 관한 다른 콘텐츠

콘텐츠 더 보기

더 보기

타래를 시작하세요

여자가 쓴다. 오직 여자만 쓴다. 오직 여성을 위한 글쓰기 플랫폼

타래 시작하기오늘 하루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