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드웨이를 이끄는 여성 캐릭터들 8. 록시

알다여성 주인공뮤지컬

브로드웨이를 이끄는 여성 캐릭터들 8. 록시

이응

일러스트레이션: 솜솜

뮤지컬 <Chicago>

초연 46th Street Theatre, (1975 ~ 1977)
대본 Fred Ebb /Bob Fosse
작곡 John Kander
가사 Fred Ebb
원작 "Chicago" Maurine Dallas Watkins
연출, 안무 Bob Fosse
재연 Ambassador Theatre (1996~)

살인마는 매력적인 소재다. 단, 이웃집이 아니라 책이나 영화, 연극 속에 한해서만. 그러나 브로드웨이에서, 특히 뮤지컬에서 살인마가 주인공을 맡기란 쉬운 일은 아니다. 세상에 복수의 칼날을 휘두르는 스위니 토드나, 그가 죽인 시체로 파이를 만들어 런던에서 대히트를 치는 러벳부인과 같은 인물이 등장하는 <스위니 토드>가 나온 이후에도 오랫동안 연극에서는 여러명의 살인마들이 흥행을 책임지곤 했지만 뮤지컬에서는 유독 등장 빈도가 낮았다. 어쩌면 1979년에 개막한 연쇄 살인마 스위니 토드가 공연되기 위해서는 이 작품이 필요했을 것이다. 1975년에 개막한 두 여성 살인마의 이야기, 뮤지컬 <시카고>

두 여성 살인마가 주연으로 나선 이 작품은 <스위니 토드>보다 오래 공연됐지만 평가는 박했다. 1976년 토니상은 이 작품에게 단 한 부문의 상도 내주지 않았다. 당시에는 두 명의 냉혈한이 등장한다는 평을 받으며 자극적인 소재로 공연을 이어간다는 악평을 듣기도 했던 이 작품은 1996년에 다시 제작되어 아직도 공연 중이다. 현재 브로드웨이에서 가장 오래 공연되는 리바이벌 뮤지컬이자, 두번째로 오래 공연되고 있는 뮤지컬이다.


역대급 살인마의 발칙하고 아름다운 성공담

뮤지컬 <시카고>는 1920년대 시카고를 배경으로 일어났던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야기다. 원작 대본을 쓴 모린 달라스 왓킨스는 기자로 일하던 시절에 직접 취재했던 두 여성의 이야기를 연극으로 엮었다. 록시 하트와 벨마 켈리는 각각 정부와 남편, 여동생을 쏴죽이고 감옥에 갇힌다. 둘은 비싼 변호사인 빌 핀을 고용해 무죄방면을 노리지만 그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빌 핀은 자신의 고용인이 정말 사람을 죽였는지에는 관심이 없다. 목적은 무조건 무죄를 받아내서 자신의 몸값을 올리는 것 뿐. 결국 록시와 벨마는 무죄 판결을 받는데 성공하고 감옥 안에서 그렇게 싸워댔던 지난 날을 잊고 사업상의 파트너가 되어 보더빌Vaudeville의 스타가 된다.

보더빌 : 188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흥했던 현재의 뮤지컬의 전신과도 같은 쇼의 형태. 전체 쇼의 줄거리가 따로 있지 않고 스탠딩 코미디, 오페라 가수, 발레, 짧은 꽁트, 스타들의 쇼 등으로 이루어졌다. 2005년에 개봉한 피터 잭슨 감독의 영화 <킹콩>에서 앤 대로우(나오미 왓슨)의 직업이 바로 보더빌 배우로, 영화의 코멘터리에서도 보더빌 시대를 진지하게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모린 달라스 왓킨스의 어떤 작품보다도 크게 히트했지만, 정작 왓킨스는 말년에 종교에 귀의한 뒤 정의를 거스르는 작품을 세상에 내놓은 걸 후회했다고 한다. 그래서 배우인 그웬 버돈이 이 작품을 탐내 뮤지컬로 개작할 생각으로 저작권을 사려고 했을 때도, 생전에는 팔지 않았다. 왓킨스가 세상을 떠난 후, 그녀의 유족이 이 작품의 판권을 팔기로 결정한 덕분에 <시카고>는 뮤지컬로 제작될 수 있었다.

그웬 버돈이 드디어 록시 하트 역을 맡았을 때 그녀의 나이는 이미 쉰이었고, 벨마 켈리 역을 맡은 치타 리베라는 쉰 둘이 되어 있었다. 두 사람의 연기는 대단했지만 언론에서는 연신 두 사람의 나이가 실제 인물들의 엄마뻘이라는 사실을 지적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실제 살인을 저질렀던 두 사람의 나이가 스물 다섯, 서른 다섯이긴 하지만 두 여배우의 연기는 모자람이 없었다. 오히려 그웬 버돈의 집념이 아니었다면 우리는 현재 뮤지컬 <시카고>를 볼 기회조차 얻지 못했을 것이다. 

그웬 버돈의 나이는 배역을 맡기에 조금 늦은 감이 있었을지 몰라도, <시카고>의 내용은 세상이 받아들이기에 이십년은 일렀다. 그 당시 환영받지 못했던 이 작품은 이십년이 훌쩍 넘어서야 제대로 인정받고, 환호 속에 이십년 간 롱런하고 있다. <시카고>의 가장 큰 매력은 바로 뻔뻔하고 냉혈한인 두 여자 주인공에게서 나온다.

록시를 모욕한 남자, 등에 총을 맞아라

주인공인 록시 하트는 자신이 원하는 건 가지고야 마는 매우 경쟁심이 강한 인물이다. 록시 하트가 바라는 것은 벨마 켈리처럼 환호받는 보더빌쇼의 여배우가 되는 것. 하지만 그녀의 정부는 이런 꿈을 이용해 록시의 몸을 탐하려고 거짓말만 늘어놓는다. 그가 자기 욕망만 채우고 그녀를 비웃으며 바지를 주워 입고 떠나려 하자, 록시는 그의 등 뒤에 총을 쏜다. 

록시 하트의 실존 인물이었던 볼라 안난은 재판에서 자신의 주장을 여러번 바꾸긴 했지만, 가장 유명했던 변론이 바로 도둑이 무서워 사두었던 총을 그가 먼저 들었고 그 총을 쳐내서 두 사람이 서로 총을 향해 달려들었다는 주장이었다. 이 변론은 그대로 "We Both Reached for the Gun" 넘버로 구현된다. 

실제로 이웃에 록시 하트가 살고 있다면 반가울 사람은 많지 않겠지만, 무대 위에서는 그런 사람의 인생이 늘 더 흥미진진한 법. 자신의 젊음과 외모와 꿈을 믿기에 아직 세상이 두렵지 않은 록시는 감옥에 갇혀서도 두려움보다 호기심이 앞선다. 감옥에서 자신이 선망하던 벨마 켈리를 만나 그녀에게 선망 어린 눈길을 보내보지만, 그런 눈길에는 이미 익숙해진 벨마는 록시를 지나가는 개미처럼 취급한다. 록시는 순식간에 벨마에 관한 호감을 접고 모멸감으로 인한 증오를 불태우며 자신의 살 길을 찾는다. 

여자들을 화나게 한 남자들아, 죽어라

특히나 새로운 스캔들로 떠오른 자신의 유명세를 즐기는 모습은 그야말로 소시오패스같은 면모를 보여준다. 그렇다. 이 작품의 여성들은 결코 자신의 꿈을 위해 정정당당하게 사회의 편견을 헤치고 나아가는 인물들이 아니다. 특히나 록시는 더욱 더 그렇다. 오히려 드문 여성 살인자이기에 더 많은 편견의 대상이 되었다. 한편으로 록시는 재즈시대의 쾌락의 상징이었던 시카고의 금권만능주의와, 스캔들에만 관심을 쏟던 언론과 사람들의 냉소적인 면을 그리기 위해 선택된 '소재'이기도 하다. 

그런데도 이 작품을 보고나면 후련하다. 특히나 벨마와 다른 여죄수들이 부르는 "Cell Block Tango"는 더더욱 그러하다. 나를 화나게 해서, 나를 두고 바람을 피워서, 나를 때려서 남편을 혹은 애인을 죽였다는 여인들의 이야기로, 어디서 많이 들어본 대사와 가사들이 등장한다. ‘네가 나를 화나게 하지 않았다면’ 맞고, 강간 당하고, 죽임을 당하지 않았을 거라는, 언제나 남성들의 입에서 나오던 말들이다. 이 노래는 특히나 개막 당시 많은 논란이 됐다. 여성들마저 남성들처럼 죄를 짓는 모습을 아름다워야 할 뮤지컬에서까지 봐야 하겠냐고. 

록시가 일으킨 논란, 록시가 살아있을 미래

하지만 70년대는 그리 아름다운 시대는 아니었다. 명분 없는 베트남 전쟁이 막 미국의 패배로 끝났고, 민권운동은 지지부진했고, 당당하던 여성들은 영화에서 사라지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살인을 참회하지 않는 두 여성 주인공은 환영받기 쉽지 않았다. 단지 이들이 남성을 죽여서가 아니라, 이들이 태연하게 남성들의 영역을 침범하고도 그들의 언어를 고대로 돌려주는 모습 때문이다. 

쇼킹했을 것이다. 그야말로 악명도 유명이라는 말에, 범죄로 스타가 되는 범죄자 스타라는 컨셉에 꼭 맞는 모습이다. 록시에 비하면 하다 못해 질투심과 모멸감에 사로잡혀 남편과 동생을 죽인 벨마가 더 인간적으로 보인다. 삶에 대한 경험이 훨씬 더 많았던 벨마에 비해 어렸던 록시는 벨마도 무시하고 세상 전부를 무시하다가, 죽음이 훅 들어오고 나서야 비로소 정신을 차린다. 

록시는 과거와 현재 만이 아니라 미래에도 사라지지 않을 ‘나만 잘되면 돼!’를 상징하는 인물로서 여전히 생명력을 지닐 것이다. 처음 뮤지컬 <시카고>의 막이 올랐을 때는 살인자로서의 여성이라는 면이 쇼킹했다면, 현재는 그녀의 모습 자체가 완벽한 미러링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 미래의 록시가 궁금한 이유다. 

이응님의 글은 어땠나요?
1점2점3점4점5점
SERIES

브로드웨이를 이끄는 여성 캐릭터들

이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여성 주인공에 관한 다른 콘텐츠

뮤지컬에 관한 다른 콘텐츠

콘텐츠 더 보기

더 보기

타래를 시작하세요

여자가 쓴다. 오직 여자만 쓴다. 오직 여성을 위한 글쓰기 플랫폼

타래 시작하기오늘 하루 닫기